“구글,검색순위 조작해 시장 독점”

“구글,검색순위 조작해 시장 독점”

입력 2010-07-12 00:00
업데이트 2010-07-12 1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글이 인터넷 검색시장에서 자신의 위치를 악용,검색순위를 조작해 경쟁사에 불이익을 준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12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이 같은 이유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등이 업체들로부터 민원을 접수해 진상을 파악 중이다.

 구글은 블로그 검색이나 여행정보 등 자신들의 사업 영역과 겹치는 업체에 대해 검색순위 선정 알고리즘을 바꾸는 방식으로 순위를 낮춘다고 FT는 전했다.

 일례로 블로그 검색서비스 업체 테크노라티는 그간 여러 차례 구글에서 자사 검색순위가 급락한 적이 있었다며 이를 구글의 ‘벌칙성 조치’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EU 집행위는 올해 업체들로부터 민원 3건을 접수하고 비공식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구글 검색서비스 상대로는 당국의 첫 조사다.

 지난달에는 프랑스 독점규제 당국도 구글이 한 광고업체를 검색 결과에서 배제한 조치가 위법행위라며 이를 즉각 철회하라고 명령했다.

 구글이 이 같은 횡포를 부릴 수 있는 이유는 미국과 유럽의 인터넷 검색 시장에서 구글이 ‘절대강자’ 위치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미국 인터넷 검색시장에서 현재 구글의 점유율은 70%가량인데,서유럽에서는 90%에 달해 사실상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또 구글의 지난해 경제활동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자체 추산으로 미국에서만 540억달러(약 64조6천억원)라는 거액이다.

 연 수익 가운데 반 이상이 미국 외 지역에서 나오는 점을 고려하면 ‘구글 경제’의 규모는 무려 1천억달러(약 120조원)에 이른다.

 게다가 일반 웹사이트는 물론 전문분야 검색이나 콘텐츠 취합 사이트 등도 검색 노출 가운데 평균 50%가량을 구글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구글이 특정 업체나 업종에 대해 검색 알고리즘을 바꿔 순위를 내려버리면 업체나 업계로서는 엄청난 피해를 보는 셈이다.

 벤처캐피털 업체 애저 캐피털의 마이크 콰티네츠는 “한 달에 50%나 트래픽이 떨어진 업체들을 알고 있다”면서 “자신들이 (구글의) 페널티 박스 안에 있음을 알지만 어떻게 빠져나와야 하는지 모르는 업체들이 여럿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구글은 검색 알고리즘 변경이 엄청난 여파를 몰고 온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특정 업체 등을 염두에 두고 알고리즘을 바꾸거나 이를 ‘벌칙성’ 조치로 활용한 적은 없다고 부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