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직원 구속·자살 잇단 악재

금감원 직원 구속·자살 잇단 악재

입력 2011-05-04 00:00
업데이트 2011-05-04 0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축은행 부실감독 책임론에 휩싸인 금융감독원이 꼬리를 물고 발생하는 악재에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저축은행 사태에 대한 검찰 수사가 속도를 내면서 금감원 전ㆍ현직 직원들이 금품수수 등 비리를 저지른 사실이 끊이지 않고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검찰은 3일 보해저축은행 부실사태와 관련, KB자산운용 이모 감사가 금감원 부국장 재직 당시 뇌물을 받은 정황을 포착했다.

이 감사는 금감원에 재직했던 지난 2009년 수차례에 걸쳐 보해저축은행으로부터 수억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검찰은 보해저축은행에 대한 검사과정에서 금감원 2급 검사역 정모씨를 4천만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했다.

문제는 이번 사태가 언제 마무리될지 좀처럼 예상이 힘든 상황이라는 것.

저축은행 부실사태에 대한 검찰수사가 진행되면 진행될수록 금감원 직원들의 비리가 고구마 줄기처럼 이어져 나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금감원 내부에서도 확산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이날 오후 금감원 부산지원 수석조사역인 김모씨가 투신자살하는 사건까지 발생하자 금감원은 당혹스러운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김씨는 부산저축은행 검사와는 연관이 없는 기획업무 담당이지만, 지난 2월17일 부산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된 지 2시간째인 당일 오전 10시께 김씨의 가족이 부산2저축은행에 있는 2개 계좌에서 예금보장한도를 초과한 원리금 5천700만원을 인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2저축은행은 부산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된 지 이틀째인 2월19일 영업정지됐다.

금감원이 지난달말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에서 금감원 직원과 가족 등이 예금을 인출한 사실을 제출토록 하자 심리적 압박 때문에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는 게 경찰과 금감원의 추정이다.

경찰은 이와 관련해 부산저축은행 직원들을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사건 경위를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은 사건이 발생한 시점이 미묘하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오해가 확산하는 것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검찰은 부산저축은행 경영진의 불법행위와 관련, 불법대출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금감원 간부 출신 감사 4명이 감독기관을 대상으로 로비 창구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조사하는 중이었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김씨의 자살이 부산저축은행과 관계없다고 하더라도 앞으로의 검찰 수사가 걱정”이라며 “비리혐의가 드러나는 직원이 추가로 나오면 금감원에 대한 여론은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악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