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硏 연구단 ‘사전 지역 배분’ 논란

기초과학硏 연구단 ‘사전 지역 배분’ 논란

입력 2011-05-16 00:00
업데이트 2011-05-16 16: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기계 “향후 연구원이 역량 따져 정할 문제”

16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입지와 함께 윤곽을 드러낸 기초과학연구원의 형태와 관련, 과학기술계에서는 “다분히 정치·지역적 결정”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날 공개된 과학벨트 조성사업 추진계획안에 따르면,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연구단은 거점지구인 대덕단지뿐 아니라 광주와 경북권(대구·울산 포함)에 집중적으로 들어선다. 거점지구에서 탈락한 지역들을 배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광주의 경우 광주과학기술원(GIST), 경북권에서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포스텍(포항공대), 울산과기대(UNIST) 등이 중심이 되며, 각 지역 연구단들은 클러스터 형태로 이른바 ‘연합 캠퍼스’를 구성한다.

연구단 수는 대덕단지에 약 25개(본원 15개+KAIST 10개), 경북권의 DUP(DGIST·UNIST·POSTECH) 캠퍼스에 약 10개, 광주 GIST에 약 5개가 배정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 같은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의 ‘지역적 할당’은 연구원이나 연구단 설립의 기본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게 과학기술계의 중론이다.

향후 선임될 연구원장과 연구원 과학자문위원회가 함께 국내외를 막론하고 연구 수월성(역량)을 갖춘 연구단장 후보와 연구분야·기관을 물색한 뒤 이를 중심으로 연구단을 설치하는 것이 기본 원칙인데, 이를 훼손했다는 지적이다.

지난 12일 과학벨트위 분과위인 기초과학연구원위원회 회의 직후 한 관계자는 “본원 외 연구단(사이트랩)의 경우 연구 수월성(역량)을 기준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점을 회의에서 계속 강조했지만 정부도 나름대로 정치적·지역적 판단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인 것 같더라”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과학기술부 장관을 지낸 경기도바이오센터 채영복 이사장도 “연구단은 수도권이나 강원도 등을 가리지 않고 대학과 유능한 연구팀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어야 하는데 (탈락한) 몇 개 지역에 한해 선정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과학벨트위원장인 이주호 교과부 장관도 이날 브리핑에서 이 같은 과기계의 지적을 의식한 듯 “연구단 숫자를 배정한 것은, 투자계획을 세울 때 대략의 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이어서 어디까지나 큰 방향일 뿐 변동이 가능하다”며 “지역별로 투자가 되겠지만,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인 만큼 최대한 ‘수월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