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IGS 국가 재정위기 악순환 우려”

“PIIGS 국가 재정위기 악순환 우려”

입력 2011-07-14 00:00
업데이트 2011-07-14 14: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탈리아의 재정불안이 심화되면서 포르투갈·이탈리아·아일랜드·그리스·스페인 등 남유럽 5개국(PIIGS) 간 재정위기 악순환이 형성되고 있다는 견해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연구위원, 김천구 연구원은 14일 ‘헤지펀드발(發) 이탈리아 재정위기 고조’ 보고서에서 글로벌 헤지펀드가 이탈리아 국채를 공격하면서 그리스에서 시작된 재정위기가 이탈리아로 확산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탈리아 국채금리(10년물)는 지난 1일 4.87%에서 12일 5.62%로 급등했고 국가 부도 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175bp에서 292bp로 치솟았다.

이탈리아는 그동안 그리스나 포르투갈, 아일랜드, 스페인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재정위기가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헤지펀드가 이탈리아 국채의 대규모 만기 도래, 제2차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발표, 정치권 갈등이 겹치는 시점으로 노려 공격함으로써 위기가 고조됐다.

이 연구원은 “이탈리아의 경제사회적 취약성이 단기 내 해소되기 어렵다는 측면에서 앞으로 제2, 제3의 헤지펀드 공격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그는 또 주요 7개국(G7) 선진국인 이탈리아가 재정위기 가능성에 노출된 것은 유럽의 재정위기가 예전의 그리스, 아일랜드, 포르투갈 때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했다.

그리스의 위기가 이탈리아의 위기를 키웠다면 다시 이탈리아의 위기가 PIIGS 5개국으로 확산되는 악순환 구조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PIIGS 5개국의 위기 전염 강도가 커지면서 유럽 재정위기의 해결책을 찾기가 더욱 어렵게 됐고 세계 경기 회복도 지연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리스 경제규모의 7배에 달하는 이탈리아가 재정위기에 빠진다면 세계 금융시장이 마비되고 세계경기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며 “우리나라도 유럽 투자자금의 급격한 유출, 대(對) 유럽 수출 감소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유럽 재정위기 확대가 외국자본의 급격한 유출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외환위기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