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에 녹은 상태의 방사성 물질 우라늄, 특정 세균이 결정화”

“물에 녹은 상태의 방사성 물질 우라늄, 특정 세균이 결정화”

입력 2011-07-18 00:00
업데이트 2011-07-18 1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물에 녹은 상태의 방사성 물질 우라늄을 특정 세균이 결정으로 만든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이는 우라늄에 따른 토양·수질 오염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순도 높은 우라늄을 다시 얻을 수 있는 기술이어서 주목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허호길 교수 연구팀이 슈와넬라(Shewanella)균이 물에 녹은 ‘우라늄 6가 이온’을 자신의 껍질에 결정 형태로 붙여 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의 매우 가는 실(나노와이어)을 생성하는 현상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슈와넬라균은 흙·물 등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박테리아로, 주위에 산소가 부족한 경우 우라늄·철 등의 이온을 이용해 전자를 교환하며 호흡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연구팀이 실험실에서 산도 등 일정 조건을 맞춰주자 슈와넬라균의 호흡에 이용된 ‘우라늄 6가 이온’이 물에 녹지 않는 ‘우라늄 4가 이온’으로 바뀌어 슈와넬라균 껍질에 남고, 이 ‘우라늄 4가 이온’이 일종의 ‘씨앗’ 역할을 해 ‘우라늄 6가 이온’으로 이뤄진 나노와이어가 만들어졌다.

’우라늄 4가 이온’을 중심으로 나머지 주위의 ‘우라늄 6가 이온’들이 결정 형태로 길게 실 모양으로 달라붙은 것이다.

방사성 물질인 우라늄은 자연 상태에서 쉽게 산소 등과 만나 우라늄 이온으로 바뀌는데, 우라늄 6가 이온의 경우 물에 녹는 수용성인 반면 4가 이온은 물에 녹지 않는다. 우라늄 6가 이온은 ‘안정’ 상태 우라늄의 맨 바깥쪽 궤도 전자 수보다 6개가, 4가 이온은 4개가 부족한 상태를 말한다.

슈와넬라균을 통해 물에 녹은 우라늄 6가 이온을 물에 녹지 않는 실 모양의 결정 형태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우선 우라늄 6가 이온으로 오염된 흙이나 물에 이 균을 넣고 침전 등의 거쳐 우라늄 6가 이온 결정만 분리하면 방사능 오염을 막을 수 있다. 높은 순도의 우라늄을 다시 얻거나 생산하는 데 같은 원리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