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에 떼일 한국 돈 많지 않다”

“유럽에 떼일 한국 돈 많지 않다”

입력 2011-11-29 00:00
업데이트 2011-11-29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당국 자신만만… 유럽계 자금이탈엔 촉각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가 신용등급 강등을 경고한 유럽연합(EU) 국가들의 위험에 노출된 한국 대출금 등을 합치면 120억 달러(약 13조 8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EU의 재정위기가 악화되면 대출금 회수에 어려움을 겪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지만, 금융당국은 그다지 심각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진단했다.

금융감독 당국 관계자는 이날 “EU에 대한 우리나라의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전체의 10%, 많아도 20%가 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익스포저란 우리나라 금융회사가 유럽 기업에 대한 대출금이나 지급보증액, 현지 발행 유가증권 보유액 등을 말한다.

유럽 재정위기의 시발점인 ‘PIIGS’(포르투갈·아일랜드·이탈리아·그리스·스페인) 5개국에 대한 익스포저는 올해 3월 말 현재 26억 3000만 달러(전체의 4.4%) 규모다. EU 전체에 대한 익스포저는 PIIGS 익스포저의 최대 5배인 119억 5000만 달러로 추산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국외 익스포저의 유럽 비중을 아직 대외적으로 공표한 적이 없다.”면서 “익스포저 중에는 현지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에 빌려줬거나 선박수출 보증금이 적지 않으며, 실제 돈을 떼일 염려는 크지 않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은 EU 전체의 신용등급이 악화되면 역내 자금시장이 위축되고, 우리나라에서 유럽계 자금 이탈이 가속화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다른 관계자는 “국내 자본시장에 들어온 외국인 자금의 30%를 차지하는 유럽계 자금이 계속 빠져나가고 있다.”며 “외국계 은행의 국내지점을 통한 본점의 차입금 회수도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11-29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