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굶겨 죽이는 농가] 농민들 “FTA 비준 후 축산물값 모두 하락”

[소 굶겨 죽이는 농가] 농민들 “FTA 비준 후 축산물값 모두 하락”

입력 2012-01-05 00:00
업데이트 2012-01-05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徐장관 “육우·사료값 등 세밀한 대책 마련”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비준되니까 송아지 가격이 폭락하지 않았습니까.”(이승호 낙농육우협회장)

“아직 발효도 안 됐는데 한·미 FTA 때문에 가격이 내렸겠습니까.”(서규용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4일 농림수산식품부가 주최한 한·미 FTA 보완 대책 농어업단체장 간담회. 한·미 FTA 추가 보완 대책이 나온 뒤 처음 열린 간담회에서는 새해 덕담이 오갔지만 최근 폭락한 송아지값이 화제가 되자 약간의 실랑이가 벌어졌다.

농식품부가 발 빠르게 한우 관련 대책을 내놨지만 육우 등 다른 축산물은 대책에서 배제됐다는 푸념이 나왔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축산 관련 협회 가운데 육우협회·양돈협회·오리협회·양계협회·계육협회 등은 간담회에 참석했지만 한우협회는 불참했다.

이승호 협회장은 “한·미 FTA가 통과된 뒤 돼지를 제외하고 육우·오리·닭 등 축산물 가격이 모두 하락했다.”면서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주지 않고 농가가 알아서 하라는 식인 것 같다.”고 주장했다. 이어 “농식품부가 소 가격 폭락 관련 대책을 마련했지만 한우 관련 대책만 있다.”고 덧붙였다.

김준봉 한국농업경영인연합회장도 “한우와 젖소, 육우 등 대책을 세분화해 달라는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면서 “정부가 FTA 대책을 마련했지만 농민 입장에서는 부족한 점이 많다.”고 거들었다.

서 장관은 “육우에 대한 대책이 없을 리 없다.”고 달랬다. 그는 “이번에 밭농업 직불제를 도입했는데 이를 통해 낙농가의 사료 가격이 떨어지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 장관은 또 “외국에서는 1년 미만 송아지 고기를 비싸게 파는 경우가 있는데 우리 농가에서도 사육 기간과 사료값을 줄이고 질 좋은 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에 대해 연구를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잠시 동안의 언쟁은 한 참석자가 “한·미 FTA와 같은 위기 국면에서는 농업 협회끼리 합심하는 게 중요하다.”고 중재에 나서면서 정리됐다. 오전 11시에 시작된 간담회에는 서 장관을 비롯해 농식품부 국장, 분야별 협회장 등 40명이 참석했으며 예정된 50분을 훌쩍 넘겨 2시간 가까이 진행됐고 회의 뒤에는 늦은 오찬이 이어졌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2-01-05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