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진작 위해 1분기 5조 더 푼다

내수 진작 위해 1분기 5조 더 푼다

입력 2012-03-16 00:00
업데이트 2012-03-16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정 집행률 30→32%로 높여 일시 과잉자금은 韓銀이 흡수

부진한 내수를 살리기 위해 정부가 1분기에 돈을 5조원 더 푼다. 이달에만 33조원가량이 풀린다. 일시적으로 넘쳐나는 과잉자금은 한국은행이 흡수하고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15일 과천청사에서 김동연 2차관 주재로 재정관리점검회의를 열고 1분기 재정 집행률을 30%에서 32%로 높이기로 결정했다. 당초 계획보다 5조 6000억원 늘어난 88조 6000억원을 풀기로 한 것이다. 2월 말까지 집행된 금액이 55조 3000억원인 만큼 이달 중 33조 3000억원이 풀리게 된다.

재정부는 재정 조기 집행을 통한 내수 진작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일자리와 서민 생활 안정 분야를 집중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지난 1월 내수 출하는 전년 동월 대비 4.5% 감소했다. 2009년 5월(-8.2%)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내수마저 이대로 주저앉으면 경기 회복이 어렵다고 보고 정부가 돈을 좀 더 조기에 풀기로 한 것이다. 5조여원은 세외 수입 징수 강화 등을 통해 조달할 계획이다.

정부의 이 같은 조기 재정 집행 등으로 시중자금이 일시 과잉 상태를 보임에 따라 한은은 국민연금기금에서 7조원 규모의 국채를 빌려 환매조건부증권(RP)을 매각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말 한은법 개정으로 한은이 국고채 등을 사지 않고 빌려(증권 대차) 시중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게 된 뒤 처음 적용하는 사례다. 한은이 RP를 팔면 그만큼 시중 자금을 흡수하게 된다. 한은 측은 매각 물량의 만기가 15일이라는 점을 들어 본격적인 유동성 흡수는 아니라고 부인했다. ‘일시 조절’이라는 설명이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03-16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