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제품 수입가 ‘껑충’

석유제품 수입가 ‘껑충’

입력 2012-03-17 00:00
업데이트 2012-03-17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월 벙커C유 전년비 37.8%↑

국제유가가 치솟으면서 석유제품 수입가격도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16일 내놓은 ‘2월 수출입물가’ 자료에 따르면 벙커C유 수입가는 지난 해 2월에 비해 37.8%나 올랐다. 액화석유가스(35.3%), 부탄가스(29.0%), 프로판가스(23.7%), 휘발유(17.9%) 등도 같은 기간 20~30% 급등했다. 화학제품도 마찬가지다. 티타늄화이트(32.9%), 비료(28.6%), 톨루엔(23.9%) 등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박연숙 한은 물가통계팀 과장은 “원·달러 환율이 떨어졌음에도 국제유가가 워낙 가파르게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두바이유 평균가격은 배럴당 116.2달러로 전달(109.5달러)보다 6.1% 올랐다. 같은 기간 원·달러 환율은 2.0%(달러당 1145.85원→1123.35원) 떨어졌다.

2월 전체 수입물가는 컴퓨터·비금속광물제품 가격 등이 떨어지면서 전년 동월 대비 5.2% 상승에 그쳤다. 2010년 4월(5.1%) 이후 2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지난해 2월 수입물가가 워낙 많이 올랐던(16.9%) 데 따른 기저효과 요인이 커서 큰 의미를 두기 어렵다는 게 한은 설명이다. 전월 대비로는 0.5% 올라 1월(0.8%)에 이어 석 달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2012-03-17 1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