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2.5%↑…전월비 0.2%↑

5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2.5%↑…전월비 0.2%↑

입력 2012-06-01 00:00
업데이트 2012-06-01 09: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간 기준으로는 5년 만에 상승폭 가장 낮아채소 등 ‘장바구니 물가’는 많이 올라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같은 달 대비 2.5%를 기록해 석 달째 2%대의 안정된 흐름을 보였다. 월간 기준으로 2007년(2.3%) 이후 5년 만에 가장 낮은 상승폭이다.

그러나 장바구니 물가를 보여주는 채소 등 신선식품지수는 13.9%나 올라 주부들의 어깨를 무겁게 했다. 전세금 상승률도 여전히 5%를 넘어 서민들의 체감물가는 여전히 불안하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2(2010년 100기준)로 4월보다 0.2%, 지난해 같은 달보다 2.5% 올랐다.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1,2월 3.4%, 3.1%를 기록하고서 3월(2.6%), 4월(2.5%)에 이어 3개월 연속으로 2%대를 나타내고 있다.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근원 물가)는 전년비 1.6%, 전월비 0.2% 상승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기준에 따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비 1.5%, 전월비 0.3%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도 전년비 2.2%, 전월비 0.1% 상승하는데 그쳤다. 식품이 전년비 3.8% 상승했으나 전월비로는 0.2% 하락했다. 식품 이외 품목은 전년비 1.5%, 전월비 0.1% 상승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년비 13.9%, 전월비 0.2% 뛰었다. 작년보다 신선채소(25.5%), 신선과일(14.2%)의 상승폭이 컸던 탓이다.

부문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월비 0.1% 내렸지만 전년비로 7.4% 상승했다. 고춧가루(75.1%0, 배추(96.1%0, 고구마(43.1%), 감자(37.8%) 등이 많이 올랐다. 돼지고기(-16.6%), 고등어(-10%), 닭고기(-8.7%) 등은 하락했다.

공업제품은 전월비 0.4%, 전년비 3.5% 올랐는데 휘발유(7.2%), 경우(6.1%), 우유(9.4%) 등이 상승을 주도했다.

전기·수도·가스는 전월비 0.1%, 전년비 3.9% 상승했다. 특히 지역난방비와 도시가스의 상승률이 12.6%, 4.9%로 높았다.

서비스는 전월비 0.2%, 전년비 1.3%로 안정됐다. 공공서비스는 시내버스료(9%), 전철료(14%) 등의 오름폭이 컸지만 이동전화료(-6.4%)는 내렸다.

개인서비스에서는 초중고 학원비가 4.6~5.1% 올랐지만 정부의 보육확대 정책으로 보육시설이용료(-34%), 유치원납입금(-11.1%)이 많이 내리고 학교급식비(-19.3%) 부담도 줄었다.

전셋값 상승률은 전월비 0.3%, 전년비 5.3%다. 월세는 전월비 0.3%, 전년비 3% 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