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의 그늘’… 생계형 대출 늘었다

‘불황의 그늘’… 생계형 대출 늘었다

입력 2012-06-08 00:00
업데이트 2012-06-08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월 2조 이상 늘어 455조원…7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세

올 들어 들쭉날쭉하던 가계대출이 지난달 2조원 이상 급증했다.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한 생계형 대출이 많이 늘었다는 게 은행 현장의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7일 내놓은 ‘5월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은행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달보다 2조 2154억원 증가한 455조 827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달(1조 3419억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지난해 10월(3조 200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최대 증가세다.

가계대출은 올 1월(-2조 8137억원)과 3월(-4139억원)에는 감소하고, 2월(4648억원)과 4월(1조 3419억원)에는 늘었다. 들쭉날쭉한 흐름이지만 한달 평균으로 따지면 3500억원씩 잔액이 줄어드는 추세였다. 하지만 지난달에는 주택담보대출(1조 3000억원)과 마이너스대출 등 신용대출(9000억원)이 모두 늘면서 뚜렷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가계대출 잔액이 지난달 말 현재 102조 2900억원으로 은행권 가운데 가장 많은 국민은행은 전달보다 주택담보대출이 4919억원 증가했다. 올 1~4월에 7862억원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국민은행의 가계대출 담당자는 “부동산 거래가 실종돼 주택대출 수요가 거의 없는데도 지난달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한 것은 주택 구입 목적이 아니라 생활자금 용도로 쓰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개인신용대출이 1651억원 증가했다. 올 들어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이 은행의 신용대출은 지난 1~3월 1조 3893억원 감소했고 4월에는 952억원 늘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신용대출 증가액의 대부분이 마이너스 통장”이라면서 “연초에 지급된 보너스가 소진되고, 가정의 달인 5월에 지출이 많아져 생활비 대출이 늘어난 것 같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은행들의 실적 관리도 가계대출 증가세에 한몫했다고 풀이했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인사 이동이 많은 1~3월에는 지점의 영업력이 가장 약화되는 시기여서 대출이 부진하다.”면서 “4~5월은 전사적으로 영업 드라이브를 걸기 때문에 대출 실적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의 관계자는 “가계대출을 지나치게 조였다가 금융당국이 실태 조사에 나서자 다시 늘린 것 아니냐는 일각의 해석은 현장과 동떨어진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가계대출 규모 자체는 여전히 부담스럽지만 최근의 증가세는 크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게 한은과 은행권의 공통된 반응이다. 5월 증가액만 하더라도 지난해 같은 달(3조 3000억원)에 비하면 1조 1000억원 적다. 우리은행의 한 부행장은 “지난해와 비교하면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꺾였다.”면서 “휴가철이 시작되는 이달 말부터 8월까지는 증가세가 다시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2-06-08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