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증하고 있는 강시 기업 알고보니

최근 급증하고 있는 강시 기업 알고보니

입력 2012-06-13 00:00
업데이트 2012-06-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사해서 번 돈은 줄고, 빚은 늘어나면서 기업들의 빚 갚을 능력이 크게 퇴보했다. 번 돈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강시’ 기업들도 늘어났다. 이 같은 고충은 기업에 고용된 직원들에게 그대로 전이될 수밖에 없어 기업과 가계의 주름이 깊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12일 내놓은 ‘2011년 제조업 현금흐름 분석’ 결과 외부 감사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국내 7404개 제조업체(대기업 1190개, 중소기업 6214개)의 현금흐름보상비율은 53.8%로 전년보다 12.3% 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51.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숫자가 높을수록 현금 사정이 양호해 충분히 빚을 감당할 수 있다는 의미다.

기업들의 빚 갚을 능력이 크게 후퇴한 것은 우선 벌어들인 돈이 줄었기 때문이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순익이 전년보다 감소(6.9%)하고 재고자산 감소분 등도 확대되면서 현금 유입이 115억 6000만원에 그쳤다. 전년보다 8억 7000만원 줄었다.

반면 갚아야 할 원리금(원금+이자)은 2010년 216억 3000만원에서 2011년 251억원으로 34억 7000만원 늘었다. 들어오는 돈은 적고 나가는 돈은 많으니 지불 능력이 떨어진 것이다. 중소기업(2010년 26.3%→2011년 24.9%)보다 대기업(84.9%→67.5)의 현금 사정 악화가 두드러진다.

김영헌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대기업들이 투자에 쓴 돈이 늘어났기(715억 7000만원→739억 1000만원) 때문”이라면서 “이는 미래에 대비한 투자를 늘렸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꼭 나쁘게만 볼 일은 아니다.”라고 풀이했다. 원금은 놔두고 이자만 갚을 능력을 측정하는 현금흐름이자보상비율도 제조업 통틀어 2010년 763.4%에서 2011년 698.8%로 64.6% 포인트 떨어졌다. 이 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은 27.4%에서 28.4%로 늘었다. 제조업체 세 곳 가운데 한 곳은 기업 문패만 달고 있을 뿐 번 돈으로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한다는 얘기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용어 클릭]

●현금흐름보상비율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으로 만기 1년 이내 단기 차입금과 이자비용을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는지를 보여 주는 수치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