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채권 신용위험 상승…CDS프리미엄 142bp

韓채권 신용위험 상승…CDS프리미엄 142bp

입력 2012-06-13 00:00
업데이트 2012-06-13 1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과의 격차 지속 감소…외화건전성도 양호

2012년 들어 하락세를 보여왔던 한국의 신용위험도가 유럽 재정위기의 장기화 영향으로 다시 높아졌다.

그러나 중국과의 신용위험도 격차는 지속적으로 줄어든데다 외화건전성도 기준치를 크게 웃돌아 양호한 상태다.

금융감독원이 13일 내놓은 ‘국내은행의 외화차입 및 유동성 상황’ 자료를 보면 2012년 5월 말 현재 한국의 국채(5년물)에 대한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142bp로 전월 말(121bp)보다 21bp 올라갔다.

올해 들어 한국 국채의 CDS 프리미엄은 1월 150bp까지 치솟았다가 2월 136bp, 3월 123bp, 4월 121bp로 낮아지다 5월에 다시 상승했다.

그간 우리보다 크게 낮았던 중국의 CDS 프리미엄은 2012년 들어 1월 136bp, 5월 135bp로 우리와의 격차가 좁아졌다. 그만큼 우리의 신용위험도가 좋아졌다는 의미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가 부도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상품이다. CDS 프리미엄의 상승은 신용도가 나빠져 채권 발행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감원은 “유럽문제에 따른 글로벌 신용악화로 CDS 프리미엄이 올랐다”면서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으나 올해 5월 중 국내은행의 외화차입 여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라고 말했다.

특히 금감원은 “올해 6월에는 13일 기준 한국의 CDS 프리미엄은 131bp, 중국은 128bp로 격차가 더 줄었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단기차입 가산금리는 17.1bp로 올해 평균(17.0bp)과 비슷한 수준이다. 1년물 중장기차입 가산금리도 112bp로 전월(111bp)과 큰 차이가 없다.

국내은행의 3개월 외화건전성 비율은 5월 말 현재 105.9%로 전월(107.7)보다 다소 낮아졌으나 지도비율(85%)을 크게 웃돌았다.

금감원은 “외화건전성 비율이 100%를 넘으면 부채보다 자산이 많다는 것”이라며 “현재 국내은행들의 유동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라고 설명했다.

국내은행의 단기차입 차환율은 79.0%로 전월(95.5%)보다 떨어진 반면에 중장기차입 차환율은 249.9%로 전월(68.9%)보다 큰 폭의 순차입을 기록했다. 국내은행들이 위기상황에 대비해 만기도래한 단기차입금을 갚고, 중장기 외화자금을 적극적으로 확보한 결과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