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위기때 통화정책 만능 아니다”

김중수 “위기때 통화정책 만능 아니다”

입력 2012-06-15 00:00
업데이트 2012-06-15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통화·건전성정책’ 콘퍼런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위기 때 (금리 인하 등의) 통화정책이 만능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전 세계에 돈이 너무 많이 풀린 데 대해 김 총재가 전에도 여러 차례 경각심을 나타냈지만 표현 수위가 좀 더 강해졌다. 이달 금융통화위원회 기자회견을 놓고 시장이 ‘새달 금리 인하 시사’로 해석하며 너무 앞서가는 것에 대한 ‘속도 조절’ 의도도 엿보인다.

김 총재는 이날 한은이 서울 소공로 한은 본관에서 ‘글로벌 위기 이후의 통화 및 거시건전성 정책’이라는 주제로 개최한 국제 학술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위기를 맞아 각국의 중앙은행이 금리를 신속히 낮췄을 뿐 아니라 시장에 직접 개입하는 비전통적 정책수단도 동원하는 등 적극적인 역할을 했지만 그 부작용에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국제경제보좌관을 지낸 신현송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기조연설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한국은 지금 금리를 올리기보다 내려야 할 때”라면서 “다른 나라들이 제로 금리 등으로 양적 완화를 하고 있는 이때에 금리를 올리면 오히려 (금리 차익을 좇는 돈들이 들어와) 유동성을 부풀리는 역효과가 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 재정위기와 관련해서는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로 시작된 유럽 위기가 4년이 지난 지금까지 아직 구조조정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며 “1990년에 주가와 부동산 가격이 정점에 이르렀던 일본이 1998년까지 구조조정을 못 했다는 점에서 현재 유럽 위기는 일본을 닮아가는 양상”이라고 진단했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2012-06-15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