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젖병’ 백화점 가격이 e쇼핑몰의 1.5배

‘똑같은 젖병’ 백화점 가격이 e쇼핑몰의 1.5배

입력 2012-06-18 00:00
업데이트 2012-06-18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컨슈머리포트’ 국내외 젖병 23종 비교 분석

같은 회사에서 만든 동일한 젖병이라도 백화점 등의 판매가격이 온라인 쇼핑몰에 비해 최대 1.5배 가까이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젖병은 내구력이 약하고 사용기한이 짧아 소비자단체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미지 확대


녹색소비자연대는 17일 공정거래위원회의 지원으로 시중에서 판매 중인 젖병 23종에 대한 가격과 품질 정보를 비교 분석한 뒤 그 결과를 K-컨슈머리포트(www.smartconsumer.go.kr)에 게재했다.

분석 결과 젖병은 동일 제품이라도 판매처별로 최대 1.5배의 가격 차이가 났다.

㈜우진의 ‘유피스 쇼콜라 폴리페닐설폰(PPSU)’ 젖병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1만 9110원에 팔리고 있고, 백화점에서는 46% 비싼 2만 7920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네덜란드 브랜드인 ‘디프락스’와 독일 ‘닥터브라운 PES’도 백화점이 온라인 쇼핑몰보다 30%가량 비쌌다. 판매처에 따라 가격이 다른 제품은 총 8개였다.

녹색소비자연대는 PP 재질의 젖병은 흠집이 나기 쉽고 사용기한이 짧다며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스위스의 ‘메델라 PP’와 미국 ‘코들라이프 안티콜릭 PP’ 젖병에 대해서는 소비자종합평가 점수를 가장 낮은 ‘하위 25%’로 매겼다. 이스라엘 ‘본프리 PES’와 새울미래산업의 ‘프린스 은나노 날씬’, 일본 ‘쭈쭈베이비 팬시PC’, 미국 ‘누비 와이드넥 노스필’ 등도 최하위 등급으로 평가했다.

추천 제품으로는 ‘유피스 쇼콜라 PPSU’와 ‘닥터브라운 PES’, ‘아벤트 BPA 프리 폴리에테르설폰(PSE)’ 등 3개를 꼽았다. 해당 제품은 이미 부모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녹색소비자연대가 소비자들의 선택을 ‘사후 인증’한 것이라는 논란도 일부 나오고 있다. ‘치코 제로BPA PES’(이탈리아)와 ‘피죤 모유실감 PPSU’(일본)는 성능은 우수했지만, 2만원이 넘는 가격으로 인해 추천 제품에서는 제외됐다.

조사 제품의 몸통과 뚜껑, 젖꼭지에 대해 유해물질 검출 시험을 한 결과 모두 중금속·니트로사민류·비스페놀A 등이 검출되지 않아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에 부합했다. 녹색소비자연대는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 젖병은 흠집이 생길 경우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가 용출되거나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PC 재질 젖병은 일상생활에서 환경호르몬 제품의 유통을 막겠다는 정부 의지에 따라 오는 7월 3일부터 판매·수입·제조가 금지된다. 녹색소비자연대 관계자는 “아기가 우유를 먹고 불안해하면 배앓이 방지 기능이 있는 젖병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며 “뜨거운 우유에 민감할 경우에는 온도 센서가 부착된 젖병도 고려할 만하다.”고 조언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6-18 1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