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의 그늘…지갑 닫은 고객 문 닫는 음식점

불황의 그늘…지갑 닫은 고객 문 닫는 음식점

입력 2012-06-22 00:00
업데이트 2012-06-22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5만 7445곳 폐업 속출

불황에 소비자들이 외식을 줄이면서 문을 닫는 음식점이 늘고 있다.

서울 노원구에서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황모(69)씨는 올들어 지금까지 매출이 18%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손님들 호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다고 느낀 건 올해뿐만이 아니다.”면서 “지난해도 그렇고 점점 매출이 줄고 있고 옆 식당도 어렵다고 난리다.”라고 털어놨다. 인근에서 치킨집을 운영 중인 방모(44)씨는 “이 장사를 시작한 지 13년 됐는데 개업할 때가 제일 잘됐다.”면서 “경기 체감은 지금이 외환위기 때보다 더 안 좋다.”고 말했다. 5년 전부터 매출이 서서히 줄었지만 재료비는 올랐다. 반면 치킨값은 고객 눈치에 함부로 올리지도 못하고 있다. 방씨는 “가계를 어떻게 꾸려야 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21일 한국외식업중앙회에 따르면 2011년 폐업한 외식업 사업체는 5만 7445개로 2010년(4만 7933개)보다 19.8% 늘었다. 반면 신규 사업체는 5만 6192건에서 6만 1155건으로 8.8% 증가에 그쳤다. 휴업까지 포함하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지난해 휴·폐업 외식업체는 총 29만 8223개로 신규 점포보다 약 5배 많다. 올들어 5월까지 폐업 사업체 수는 1만 9832개다. 경기 침체가 지속될 전망이라 폐업 사업체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음식점의 휴·폐업은 2010년부터 급증했다. 2009년에는 휴업 점포 14만 9015개, 폐업 점포 2만 9939개였으나 2010년에 휴업 25만 825개, 폐업 4만 7933개로 늘어났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그럭저럭 버텼으나 1년 이상은 무리였던 셈이다. 그해는 음식점 매출액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1년 이후 처음 줄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최근 집계한 2010년 음식점 매출액은 67조 5660억원으로 전년(69조 8650억원)보다 3.3% 줄어들었다. 음식점 휴·폐업 현황으로 봤을 때 지난해도 음식점 매출이 줄어들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음식점은 저녁 장사가 전체 매출의 60~70%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지갑을 닫고 귀가를 서두르면서 저녁 매출이 부진하다. 전국 음식점의 38.2%가 경기변동에 민감한 서울·경기지역에 밀집한 것도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외식업중앙회는 골목상권에 들어온 대기업 계열사의 횡포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외식업중앙회 관계자는 “기업형 프랜차이즈점이 득세하고 있는 상황에서 소규모 외식업 종사자들이 점차 자리를 잃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음식점 중 종사자가 5인 미만인 음식점이 전체의 91.3%, 매출액이 한해 1억원 미만인 사업체가 전체의 72.9% 등으로 음식점업은 아직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성원기자 lsw1469@seoul.co.kr

2012-06-22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