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에너지 메카 삼척] “해상케이블카 사업 등 해양관광 인프라 구축… 삼척 경제부흥 이끌 것”

[청정에너지 메카 삼척] “해상케이블카 사업 등 해양관광 인프라 구축… 삼척 경제부흥 이끌 것”

입력 2012-06-27 00:00
업데이트 2012-06-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대수 삼척시장 인터뷰

“에너지산업으로 부자 되고 관광·문화사업으로 풍족한 삶을 이끄는 데 혼신을 다하겠습니다.”

이미지 확대
김대수 삼척시장
김대수 삼척시장
100조원이 넘는 에너지 산업단지를 유치한 데 이어 120조원대 파이프라인 천연가스 터미널 유치까지 야심 차게 추진하는 김대수 삼척시장은 관광·문화 인프라 구축에 대해서도 열정이 남다르다. 해양 레일바이크에 이어 해상 케이블카, 관광 유람선, 비치리조트 등 해양 관광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다. 2010년 7월에 개장한 해양 레일바이크는 개장 2년 만에 탑승객 80만명을 돌파했다. 근덕면 궁촌리∼용화리 사이 5.4㎞ 해안 절경지대를 따라 레일 위를 달리는 해양 레일바이크는 사계절 인기 관광 상품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김 시장은 “지금까지 입장료 수입만 63억원이고 별도의 유·무인 카메라 포토존에서도 3억 5000만원을 벌어들였다.”면서 “올여름에도 피서철을 앞두고 수학여행단과 단체관광객 방문이 줄을 잇고 있어 예약이 필수”라고 자랑했다.

내친김에 레일바이크와 해신당공원, 장호항 유람선을 잇는 용화~장호 간 ‘해상 케이블카’ 조성 사업도 탄력을 받고 있다. 민자 194억원을 포함해 256억원이 들어가는 해상 케이블카 사업은 내년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내 처음으로 방재 시범마을도 조성한다. 이 사업은 257억원을 들여 정라동 일대 4만 6310㎡에 지하를 포함한 저류지와 방재 생태하천 등을 만드는 것으로, 이를 통해 재난 위험을 줄이겠다는 복안이다.

김 시장은 “동굴의 고장 삼척이 바다를 보면서 가족이나 연인들이 해양 레일바이크를 즐기고, ‘한국의 나폴리’로 불리는 장호항 일대를 케이블카를 타고 감상하며, 유람선을 타고 바다를 즐길 수 있는 관광도시로 자리매김하는 데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삼척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2012-06-27 1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