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가능인구 이미 감소하는데…

생산가능인구 이미 감소하는데…

입력 2012-06-28 00:00
업데이트 2012-06-28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부산·전남 2010년부터 줄어…대구·전북·경북도 내년부터···

전국적으로 2017년부터 시작될 것이라던 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가 서울, 부산, 전남 등 일부 시도에서는 2010년에 이미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부터는 대구, 전북, 경북까지 더해 6개 시도에서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 전망이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0~2040년 장래인구추계 시도편’에 따르면 2010년 부산의 생산가능인구는 전년보다 0.59% 줄어들었다. 서울(-0.44%), 전남(-0.03%)도 마찬가지다. 내년(2013년)에는 부산의 생산가능인구가 올해보다 0.8% 줄어든다. 서울은 0.13% 줄지만 경기는 1.36% 늘어 대조를 이룬다.

서울, 부산 등 대도시의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인구 이동 탓이다. 이웃하는 경기나 인천, 경남 등의 신도시 개발로 젊은 층이 대도시에서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한시적 현상일 뿐이다. 전국의 생산가능인구는 2010년 현재 3598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72.8%를 차지하나 2016년 3704만명(72.9%)을 정점으로 2017년부터 감소한다. 2020년부터는 모든 시도에서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어 2040년에는 2010년보다 19.8%가 줄어들 전망이다.

영남권의 2040년 생산가능인구는 2010년보다 29.4%(274만명)나 줄어든다. 부산(-36.7%), 대구(-31.4%), 경북(-28.7%) 등 감소 폭이 가장 큰 3개 시도가 영남권에 위치해 있다. 2040년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16개 시도에서 모두 60% 이하다. 전남은 47.9%까지 낮아질 전망이다. 문제는 부양 부담의 가중이다.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 인구(유소년 및 고령자)를 뜻하는 총부양비는 2010년 37.3명에서 2040년 77명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전남이 56.2명으로 가장 높다. 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 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2010년 68.4명에서 2040년 288.6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유소년 1명당 노인 3명인 셈이다.

김태헌 교원대 사회교육과(인구학) 교수는 “출산율을 높이는 것이 근본적인 대책이겠지만 효과로 나타나는 데는 20~30년이 걸린다.”며 “당분간 생산가능인구의 감소가 불가피한 만큼 그 안에서 여성과 50대 중·후반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높이는 것이 공백을 메우는 대책”이라고 조언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06-28 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