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관? 아냐, 고급 식품관!

명품관? 아냐, 고급 식품관!

입력 2012-06-30 00:00
업데이트 2012-06-30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화점마다 식품관 매장 리뉴얼 경쟁 치열

●갤러리아 새달 중순부터 재단장 공사

서울 압구정동에 있는 갤러리아백화점이 새달 중순부터 식품관 재단장 공사에 들어간다. 2005년 8월 ‘고메 엠포리엄’(Gourmet Emporium)이라는 거창한 이름으로 거듭나 당시 대중적이지 않던 유기농 먹거리 등을 선보이며 고급화 바람에 불을 당긴 지 7년 만이다. 추석 대목도 포기하고 2개월에 걸쳐 공사를 진행, 10월 초에 다시 문을 열 예정이다.



이미지 확대
신세계백화점이 지난해 9월 강남점에 개설해 ‘큰손’ 고객 유치에 톡톡한 공을 세우고 있는 미국 프리미엄 식품매장 딘앤델루카(①). 유기농 신선식품을 차별점으로 내세워 고급화 바람을 일으켰던 갤러리아백화점의 식품관 고메 엠포리움(②③)은 새달 중순 7년 만에 재단장 공사에 들어간다.   신세계백화점 ·갤러리아 제공
신세계백화점이 지난해 9월 강남점에 개설해 ‘큰손’ 고객 유치에 톡톡한 공을 세우고 있는 미국 프리미엄 식품매장 딘앤델루카(①). 유기농 신선식품을 차별점으로 내세워 고급화 바람을 일으켰던 갤러리아백화점의 식품관 고메 엠포리움(②③)은 새달 중순 7년 만에 재단장 공사에 들어간다.

신세계백화점 ·갤러리아 제공




식품관 리뉴얼에 나서는 이유는 그동안 백화점 간 식품관 고급화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차별적인 요소가 사라진 게 가장 크다. 갤러리아백화점 관계자는 “사내에서조차 식품관의 콘셉트에 대해 관련 부서 외에는 아무도 모를 정도로 철저한 대외비“라며 “지금까지 어디에서도 보지 못한 신개념 식품관으로 탈바꿈시킬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때 백화점들은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추고 품격을 높이기 위해 명품관 꾸미기에 열을 올렸다. 3~4년 전부터는 그 열정이 식품관으로 옮겨 붙었다. 백화점에서 유일하게 차별화를 둘 수 있는 부분인데다 비싼 데도 불구하고 백화점을 찾아 주기적으로 장을 보는, 진짜 ‘큰손’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최상의 유인책이기 때문이다.

식품 구매 고객이 비식품 고객에 비해 더 많이, 더 자주 쇼핑을 하고 다른 상품을 구매하는 비율도 높다는 게 업계의 정설이다.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식품관을 찾는 고객은 연 평균 1인당 271만원을 쓰지만 그렇지 않은 고객은 118만원 정도 지출했다.

●신세계 ‘SSG 푸드마켓’ 새로 열기로

신세계백화점이 지난해 매출을 분석한 결과 식품을 연간 10회 이상 구매한 단골 고객이 일으킨 매출액이 전체 백화점 매출 중 75%를 차지했다. 식품관 이용 고객이 고가의 수입품이나 화장품 등 다른 제품을 사는 연관 구매율도 92%나 됐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해 9월 강남점에 개설한 미국 프리미엄 식품 브랜드 ‘딘앤델루카’로 톡톡한 재미를 보고 있다. 딘앤델루카 입점 이후 올 6월까지 식품관의 매출이 19% 늘어났다. 여행이나 유학생활을 통해 낯익은 식재료나 도구들을 이곳에서 살 수 있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꽤 먼 곳에서 원정 쇼핑을 오는 고객들도 많다고 한다. 이 같은 성공에 힘입어 하반기 경기점에 2호점을 열 계획이다.

김낙현 신세계백화점 가공식품팀장은 “고객이 오랜 시간 머물며 쇼핑·문화·엔터테인먼트를 한 공간에서 즐길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센터’로 백화점이 자리 잡으면서 식품관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이달 말과 새달 초, 각각 서울 청담동과 부산 마린시티에 고급 식품관인 ‘SSG 푸드마켓’을 따로 연다. 2000년부터 서울 대치동 타워팰리스 내에 스타슈퍼라는 프리미엄 식품관을 운영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것이다. 백화점이 아닌 곳에 따로 고급 식품관만 내는 이유는 시장포화로 백화점 신규 출점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한다는 의미가 있다. 여기에다 수준 높은 식문화 제공으로 사로잡은 고소득층 고객들을 자연스럽게 백화점으로 끌어들이겠다는 포석도 있다.

●롯데 맛 평가단 모집중

롯데백화점은 현재 본점, 잠실점, 부평점, 분당점 등에서 고객을 대상으로 식품관 및 푸드코트 맛 평가단을 모집 중이다. 주요 점포를 대상으로 식품관 고급화 작업을 끝냈으나 과연 고객이 얼만큼 만족하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일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명품관 고객보다 식품관 고객의 충성도가 더 높다.”며 “이들의 의견을 반영해 식품관 개선에 나서는 것은 이들의 발길을 지속적으로 붙잡기 위한 전략”이라고 말했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2-06-30 1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