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발사 25일 유력”…고체연료 연소시험 ‘정상’

“나로호 발사 25일 유력”…고체연료 연소시험 ‘정상’

입력 2013-01-13 00:00
업데이트 2013-01-13 09: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음주 발사관리위원회 열어 예정일 최종확정

지난해 11월 발사 시도가 중단됐던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1)가 이르면 이달 25일 다시 발사대에 선다.

일각의 우려와 달리 제작 후 약 5년이 된 로켓 상단부 고체연료 킥모터도 실험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돼 발사 추진이 순조롭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13일 “금주 열릴 나로호 발사관리위원회에서 3차 발사 예정일이 최종 결정되며 기상 등 돌발 상황만 없다면 이달 25일이 발사예정일로 정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우리나라와 러시아의 연구진은 발사관리위원회 개최에 앞서 지난해 말 이후 나로호 수리 및 점검 상황과 현재 상태 등을 논의하고 발사 가능 시기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러시아측 연구원들은 최근 휴가를 마치고 입국했다.

이번 주에 양국 연구진 회의와 발사관리위원회가 잇따라 열리면 자난해 11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약 열흘 뒤인 이달 말께 발사 시도가 이뤄질 공산이 크다.

현재 나로호는 기술적 측면에서도 결함 부분 수리와 테스트를 모두 마쳐 발사일만 정해지면 바로 상·하단(2·1단) 재조립을 시작으로 본격 발사 준비에 들어갈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이 교육과학기술부의 설명이다.

나로호는 앞서 지난해 11월 29일 발사 예정 시각을 16분여 앞두고 과전류 문제로 카운트 다운이 중단된 바 있다.

이후 연구진은 발사체조립동으로 옮겨진 나로호의 상·하단(2·1단)을 분리한 뒤 과전류 문제를 일으켰던 추력방향제어기용 전기모터펌프 관련 전기박스를 새 것으로 교체했다. 추력방향제어기용 전기모터펌프 자체에서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는 “이달 초에 실제 2단(상단)부에 새 전자박스를 장착했으며, 테스트를 거쳐 정상 작동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수명 논란의 대상인 2단부 고체연료 킥모터에도 이상이 없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관계자는 “현재 실제 2단부에 장착돼있는 킥모터와 같은 시기에 만들었다가 시험 등을 위해 떼어놓은 ‘스탠다드 모터’를 대상으로 지난 8일 연소 시험을 진행한 결과, 문제가 전혀 없이 잘 작동했다”고 전했다.

그는 “’5년 수명’ 이야기는 한 연구소의 단순한 수명 해석 결과에서 비롯된 것으로, 실제 사용 수명과 같지 않아 큰 의미가 없다”며 “미사일에 장착된 고체연료가 10년∼20년동안 사용되는 사례만 봐도 5년은 정확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2단(상단)의 고체연료 킥모터는 로켓 발사 후 시퀀스상 거의 마지막 단계에 나로과학위성을 고도 약 302km 상공 궤도에 무사히 올려 놓는 역할을 맡고 있다. 연료와 산화제가 혼합된 고체 형태의 고분자 화합물을 미리 연소실(케이스)에 넣어 놓은 형태라 발사 직전에 주입할 필요가 없다.

이달 말 발사가 이뤄지더라도 날씨는 큰 영향이 없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기온이 영하 10℃∼영상 35℃ 정도면 발사가 가능한데, 남쪽에 위치한 고흥 나로우주센터 지역의 기온이 영하 10도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

항우연 관계자는 “작년 10월과 11월 발사 준비 당시에도 기상상황이 문제가 된 적은 없었다”며 “심한 비나 눈, 강풍만 아니면 날씨에 영향을 받을 확률은 낮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