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삼성 ‘냉장고 동영상’ 100억 소송

LG, 삼성 ‘냉장고 동영상’ 100억 소송

입력 2013-01-15 00:00
수정 2013-01-15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영상 내린 것만으론 안돼”…삼성 “소송으로 마케팅” 반발

지난해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서 논란을 일으킨 ‘냉장고 용량 실험광고’와 관련, LG전자가 삼성전자를 상대로 100억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을 냈다.

14일 서울남부지법에 따르면 LG전자는 삼성전자가 자사 냉장고 용량이 경쟁사 제품과 비교할 때 국내 최대임을 보여주는 실험 장면을 담은 동영상 광고를 올려 제품 판매 등에 영향을 받았다며 지난 11일 법원에 소장을 제출했다.

LG전자는 소장에서 “가처분 신청이 받아들여져 해당 동영상은 즉각 삭제됐지만 3개월이나 게재돼 LG전자의 기업 이미지가 훼손됐을 뿐 아니라 제품 판매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LG전자 관계자는 “동영상을 내린 것만으로 사태를 마무리하면 앞으로 비슷한 사태가 재발할 우려가 있어 소송을 제기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8월 비슷한 용량의 양사 냉장고를 눕혀놓고 물을 채워 보고 자사 제품에 물이 더 들어간다고 결론을 내리는 동영상(‘냉장고 용량의 불편한 진실’)을 유튜브에 올렸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동영상의 내용이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대응을 자제해 왔으나 상대방이 소송을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당사의 기업 이미지를 심각히 훼손하고 있다”면서 “시시비비를 명확히 가리기 위해 기존 가처분 결정에 대한 불복 절차 등 모든 법적인 수단을 통해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3-01-1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