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정지 이후 LGU+ 빠져나간 가입자 71%가 SKT행

영업정지 이후 LGU+ 빠져나간 가입자 71%가 SKT행

입력 2013-01-21 00:00
업데이트 2013-01-21 09: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LG유플러스(U+)의 영업정지 처분이 시작된 이후 약 2주일간 SK텔레콤이 반사이익을 많이 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LGU+는 영업정지에 들어간 지난 7일부터 17일까지 총 5만7천364명의 가입자를 잃었다. 이 중 71%인 4만628명은 SK텔레콤으로, 29%인 1만6천736명은 KT로 각각 이동했다.

이 기간 SK텔레콤은 KT에서도 610명을 끌어와 총 4만1천238명의 가입자가 순증했고, KT는 1만6천126명이 순증했다.

SK텔레콤은 “영업정지 전에도 LGU+에서 나오는 번호이동 가입자의 70%가량이 SK텔레콤으로 왔다”며 당연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LGU+ 다음으로 영업정지에 들어가는 SK텔레콤이 미리 가입자 확보에 나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SK텔레콤은 LGU+의 영업정지 종료일 다음날인 오는 31일부터 22일간의 영업정지가 시작된다.

지난 8∼15일 SK텔레콤은 하루 5천∼7천명의 가입자가 순증했다. 이 기간에는 일부 온라인 매장에서 SK텔레콤으로 번호이동하는 조건으로 아이폰5를 19만원에 판매하는 등 과열 증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16일과 17일에는 KT가 반격에 나섰다. 이 기간에 SK텔레콤의 순증 가입자는 각각 3천905명, 1천442명으로 감소했지만, KT의 순증 가입자는 기존 2천∼3천명대 초반에서 3천298명, 5천56명으로 급증했다.

KT로 번호이동하는 가입자에게 아이폰5를 11만원에 판매하는 조건이 등장한 것도 이 시기다. KT는 다음달 22일부터 3월13일까지 영업이 정지된다.

LGU+ 역시 영업정지 개시 전에 가입자 수를 미리 끌어올린 적이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 3사에 순차 영업정지 처분을 내린 작년 12월24일부터 이달 8일까지 LGU+의 가입자는 3만5천908명 순증했고, SK텔레콤과 KT는 각각 3만3천335명, 2천573명이 순감했다.

그러나 방송통신위원회는 이 시기에 SK텔레콤이 시장 과열을 주도한 것으로 판단했다. 방통위가 작년 12월25일부터 지난 8일까지 일부 대리점에서 실태점검을 한 결과 SK텔레콤의 위반율(보조금을 상한선인 27만원보다 많이 지급한 경우)이 33.8%로 가장 높았다는 것이다. KT의 위반율은 27.9%, LGU+는 25.9%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이번 점검은 전국 3만개 판매점, 1만여 대리점 중 업체별 3개 대리점만을 대상으로 시행한 것으로 전체 시장을 대변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20일에는 갤럭시S3 3G 모델이 SK텔레콤의 월 5만4천원 이상 요금제에 24개월 가입하는 조건으로 15만원에 판매한다는 공동구매 광고가 등장해 영업정지 기간에도 보조금 열기가 여전히 사그라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 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