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공장 불산사고 2010년에도 있었다”

“반도체 공장 불산사고 2010년에도 있었다”

입력 2013-01-30 00:00
업데이트 2013-01-30 09: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번과 유사한 불산누출 사고로 강북삼성병원서 치료 후 퇴원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의 ‘불산’ 누출사고가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지난 2010년에도 모 반도체 생산공장에서 이번과 같은 불산 누출 사고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30일 강북삼성병원 산업의학과 의료진이 2011년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에 보고한 논문을 보면 약 2년6개월여 전인 2010년 9월 모 반도체 공장에서 불산 공급장치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도관 내 질소 투입검사를 하던 37세 근로자가 불산에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의료진은 이 근로자의 명확한 소속은 밝히지 않은 채 ‘2만명 규모의 반도체 제조업체에서 불산의 공급과 교체, 설비 유지를 담당했던 엔지니어’라고만 설명했다.

사고 당시 이 환자는 얼굴과 목, 양쪽 팔, 양쪽 허벅지 앞면, 왼쪽 발목 등에 통증과 발적이 있었으며, 목 따가움과 숨 가쁨 증상도 호소했다. 액체 형태의 불산이 얼굴과 목에 튀고 나서 양팔과 다리로 흘렀으며, 입 안에도 불산이 조금 들어갔다는 게 당시 이 근로자의 진술이었다.

의료진은 이 환자가 총 체표면적 중 15%에 화상을 입은 것으로 평가했다.

다행히도 이 환자는 병원 응급실에서 응급처지를 받은 후 17일간의 입원 기간에 급성 독성이나 내부 조직 및 뼈의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고 무사히 회복돼 퇴원했다.

하지만 의료진은 당시 불산 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장 내 안전관리가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불산은 라텍스 소재를 뚫을 수 있기 때문에 고무나 PVC 소재이면서 하지를 충분히 덮는 길이의 소매가 달린 앞치마, 팔 중간 이상을 덮는 내산성 장갑, 전면 보안면, 내산성 고무장화를 사용하는 게 좋지만 당시 보호장비가 충분치 않았다는 게 의료진의 분석이었다.

서병성 교수는 눈문에서 “하지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길이의 앞치마와 전면 보안면, 고무장화를 착용했었다면 큰 사고를 막을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보고했다.

이와 함께 가장 핵심적인 치료법이면서 사용 방법이 비교적 간단한 칼슘 글루코네이트 겔도 항상 사업장에 비치해 놓는 게 권장된다고 서 교수는 덧붙였다.

이번 삼성전자의 불산 누출사고도 과거와 같은 ‘미흡한 예방조치’가 사고를 키운 것은 아닌지 주의깊게 봐야 할 할 대목이다.

서 교수는 “불산에 의한 화학화상 때는 즉각적인 세척 이후 칼슘 글루코네이트 겔을 화상 부위에 발라야 추가적인 조직손상이나 전신 합병증을 막을 수 있다”면서 “이와 함께 근로자들에 대한 안전교육 및 보다 적절한 안전장치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