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성장속도 서비스업에 추월당해

제조업 성장속도 서비스업에 추월당해

입력 2013-02-06 00:00
업데이트 2013-02-06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위기 제외 11년만에 처음

지난해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더 성장했다. 서비스업이 잘해서가 아니라 제조업이 부진했던 탓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를 제외하면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더 성장한 것은 11년 만이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서비스업은 2.4% 성장했다. 같은 기간 제조업은 2.2% 성장하는 데 그쳤다.

제조업 성장속도가 서비스업에 뒤처진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당시는 금융위기로 제조업이 마이너스 성장(-1.5%)을 했다. 이런 외부 충격을 제외하면 제조업이 서비스업에 역전당한 것은 2001년 이후 처음이다. 제조업 성장률은 2010년 14.7%를 기록하며 V자 형태로 반등하는 듯했으나 2011년 7.2%로 반토막이 났다. 지난해에는 2%대로 주저앉았다. 세계 경기 침체로 수출이 고전하면서 제조업 성장이 둔화됐기 때문이다. 해외 생산이 늘어난 것도 한 원인이다. 같은 기간 서비스업 성장률은 소폭(3.9%→2.6%→2.4%) 떨어지는 데 그쳤다.

지난해 전체 성장률(2.0%)에 대한 기여도도 서비스업은 1.3% 포인트로 제조업(0.6% 포인트)의 두 배다. 2011년 성장률(3.6%) 중 제조업의 기여도(2.0% 포인트)가 서비스업(1.4% 포인트)을 웃돌던 상황에서 역전됐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처럼 수출주도형 경제는 수출이 잘돼야 설비투자와 고용·소득이 늘어 내수가 개선되는 구조”라며 “정부는 기업이 환율 등 외부 충격에 잘 버틸 수 있도록 돕고, 업체들은 수출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3-02-06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