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관광 중단 피해액 수십억… 북핵실험 소식에 눈물만”

“금강산관광 중단 피해액 수십억… 북핵실험 소식에 눈물만”

입력 2013-02-14 00:00
업데이트 2013-02-1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강산 지구 중소업체 운영자들의 하소연

“아들놈이 전화로 북한이 핵실험을 했다고 말하는데 너무 서러워서 한참을 울었습니다.”

2001년부터 북한 금강산 관광특구에 15억원을 투자한 레포츠라인 대표 김희주(왼쪽·51)씨는 북한의 3차 핵실험 소식에 다시 한번 절망했다. 금강산 현지에서 4륜바이크와 자전거 등을 대여하는 사업을 하던 그는 2008년 7월 우리나라 관광객 박왕자씨의 피살 사건을 계기로 문을 닫았다. 그날 이후 4년 넘게 고스란히 피해를 떠안은 상태다. 김씨의 손해는 30억원에 이른다.

금강산 관광 중단 이후 푼돈이라도 벌 생각에 경기 파주 출판단지에서 교정 업무를 본다는 김씨는 13일 “경제적으로 너무 힘들다”고 토로했다. 김씨는 “오늘까지 경희대에 입학한 막내딸 등록금을 내야 하는데 정말 막막하다”면서 “큰아들도 대학생인데, 애들 공부시키려고 장기 매매까지도 알아봤다”며 한숨을 쉬었다.

김씨는 “새 정부의 대북 기조는 대화와 소통이라고 해 한껏 기대를 했는데 찬물을 뿌리듯 북한이 또 핵실험을 하니 너무 답답하다”고 말했다. “어제 북한 핵실험 뉴스를 접하고서 쓰러질 뻔했어요. 북한 당국은 물론이고 무조건 기다리라고만 하는 정부도 원망스럽기만 합니다.” 금강산코퍼레이션 대표인 이종흥(오른쪽·53)씨도 2007년 5월 금강산 관광지구에 20억원을 투자했다. 호텔과 골프장에 납품할 맥주공장을 가동했고, 귀금속과 초콜릿, 허브, 생활용품을 파는 매장을 5개나 운영했지만 13개월 만에 중단됐다. 피해액은 현재 38억원까지 불어난 상황이다.

그는 원래 잘 나가던 ‘삼성맨’이었다. 1985년 삼성전자에 입사해 퇴직하기 전인 49세에 삼성그룹 계열사의 상무까지 지냈다. 이씨는 “한때 직원 11명을 거느렸지만 자식들과 먹고살기 위해 화장품부터 소변검사기까지 안 팔아 본 것이 없다”면서 “지금은 상조회사에서 영업사원으로 일하며 생계를 이어간다”고 말했다.

금강산 관광특구에 진출한 중소업체는 40여개, 투자금은 1330억원에 이른다. 금강산지구기업협의회 최요식(62) 회장은 “과거 금강산에 투자했던 사람들은 지금 대부분 대리기사, 택시기사, 막노동 등으로 입에 풀칠을 하고 있다”면서 “남북관계가 꼬이는 뉴스를 접할 때마다 우리들이 느끼는 충격은 상상도 못하는데 정초부터 다시 좌절에 빠졌다”고 전했다.

김정은 기자 kimje@seoul.co.kr

2013-02-14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