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공휴일 외래 늘리고 소아전용 응급실 만든다

야간·공휴일 외래 늘리고 소아전용 응급실 만든다

입력 2013-02-14 00:00
업데이트 2013-02-14 15: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어촌 24시간 응급체계 구축…5년간 응급의료에 1조 투자

정부가 초를 다투는 응급환자들이 쉽게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밤이나 공휴일의 외래 진료를 늘리는 한편 소아 전용 응급실 도입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14일 열린 중앙응급의료위원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3~2017년 응급의료기본계획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5년동안 응급의료체계 개편, 중증응급질환 대처능력 개선, 농어촌 응급의료서비스 확충 등에 응급의료기금 약 1조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우선 야간 또는 공휴일 외래진료 수가를 올리고 진료기관 정보도 적극 제공함으로써 야간·공휴일 외래 진료 확대를 유도한다. 119 응급의료상담도 24시간 체제로 강화된다.

지역응급의료기관은 모든 응급환자가 필수적 처리를 신속하게 받을 수 있도록 지리적 접근성을 고려해 지정하고, 응급의료센터는 중증 응급환자에 대한 수술·입원 등 치료역량을 기준으로 선정해 기능과 역할을 분명히 구분한다.

응급실내 소아와 성인 진료 공간을 분리하고 중증 소아환자만을 위한 전용응급센터 설치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아울러 응급 상황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농어촌 군(郡) 지역의 응급의료기관 운영비 지원을 늘려 24시간 응급의료서비스 체계를 갖추고, 도서·산간 내륙지역의 경우 닥터헬기 등 헬기이송체계를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또 정부는 중증외상, 심·뇌혈관질환, 심정지 등 중증 응급질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권역외상센터 17곳을 2015년까지 배치하고, 외상외과 세부전문의 300명을 양성한다. 권역별 심뇌혈관질환센터 11곳에서는 24시간 전문치료를 제공하고, 초중고등 학생들에 대한 심폐소생술 실급 교육도 강화된다.

정부는 이 같은 정책을 바탕으로 2010년 기준 35.2%인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2017년 20%미만으로 낮추고 같은 기간 심정지 상태로 병원을 찾은 환자의 생존퇴원율도 3.3%에서 8.2%로 높일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의 핵심은 언제, 어디서, 누구라도 필요한 경우 적절한 응급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안전망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