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산층, 영유아자녀 1명에 지출 62% 쓴다

서울 중산층, 영유아자녀 1명에 지출 62% 쓴다

입력 2013-03-10 00:00
업데이트 2013-03-10 09: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부모 등 혈연보육에도 월 45만원..”유모차·산후조리원 지나치게 비싸”

서울에 거주하는 중산층 가정은 만 0∼5세 영유아 자녀 1명에 평균적으로 한 달 가계 지출의 60%이상을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할머니 등 혈연에게 아이를 맡겨도 평균 월 45만원 정도를 지불하고 있었다. 또 유모차와 산후조리원 등의 가격이 상식 수준 이상으로 비싼 데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

육아정책연구소는 10일 ‘영유아 양육물가 현황과 지수화 방안’ 보고서를 통해 서울에 살며 만0∼5세 아이를 둔 450 가구를 대상으로 작년말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대상 가정들은 첫째 아이 기준으로 육아에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를 구입하는데 평균 월 118만522원, 연 1천416만6천260원을 지출했다.

이런 지출 규모는 조사대상 가정 평균 월 소비지출 총액 207만600원의 61.8%에 해당하는 것이다. 조사 대상 가정의 84.2%는 월평균 가구 소득이 도시근로자가구 소득 통계 기준 10분위 가운데 3∼8분위에 속하는 이른바 ‘중산층’이었다.

육아 지출에서 상품과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73.9%(월 93만3천709원), 26.1%(28만4천160원)였다.

자녀 연령별로는 아이의 나이가 많을수록 육아용품 등 상품 비중이 줄어드는 반면 보육·교육 등과 관련된 서비스의 비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선 단일 품목으로 가장 비싼 육아 상품은 돌·성장앨범(평균 89만2천944원)이었고, 이어 침대(51만6천993원)·전용공기청정기(50만4천444원)·유모차(43만5천121원)·아기전용세탁기(37만2천444원)·카시트(35만6천519원)·전용가습기(30만2천37원)·영유아교재(26만1천87원) 등의 순이었다.

서비스 중에서는 보육도우미(45만원)·조부모 등 혈연 보육료(43만7천273원)·돌 및 백일 비용(42만6천188원)·유치원순수교육비(35만8천545원)·외국어학원(26만9천167원)·산후조리원(20만9천91원)·어린이집 순이용료(15만6천347원)·영유아 적금 및 펀드 불입(14만7천171원) 등에 큰 돈이 들어갔다. 올해 전면 무상보육이 실행된다 해도 각 가정의 지출이 불가피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특별활동비 역시 각각 월 평균 10만5천원, 8만3천원 정도로 집계됐다.

상품 구입 방식을 살펴보면 유모차, 침대·카시트, 아기띠, 공기청정기, 영유아 교구의 경우 30%이상의 가정이 물려받거나 중고를 구입한 반면 나머지 돌·성장앨범, 영유아 책, 공기청정기, 옷 등은 70%이상 가정이 새로 샀다고 답했다.

’영유아 자녀 관련 시중제품 중 과도하게 비싼 것’으로는 유모차(63.6%), 옷(23.8%), 장난감(21.1%), 카시트(20.0%), 기저귀(19.8%), 분유(16.7%) 등이 지목됐다. 실제로 구입한 제품 중에서도 유모차(33.8%), 옷(15.6%), 장난감(14.4%), 카시트(11.1%) 등이 비쌌다는 반응이 많았다.

시중 서비스의 경우 산후조리원(16.2%), 유치원(13.6%), 사교육·특기교육(11.6%), 예방접종비(9.6%) 등의 가격이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평가됐고, 실제 이용 경험에 비춰서는 산후조리원(7.3%), 예방접종비(6.9%), 키즈카페·실내놀이터(4.9%) 가격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

최윤경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육아에 필요한 상품의 종류와 가계지출 중 비중이 서비스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보육 서비스 지원과 양육수당 현금 지원으로 이뤄진 현행 영유아 양육지원 형태를 육아필수 상품 구입 바우처 등으로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