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TV 주도권 잡기’ 日·中 협공 체제

‘차세대 TV 주도권 잡기’ 日·中 협공 체제

입력 2013-03-28 00:00
업데이트 2013-03-28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LG 최첨단 ‘OLED TV’ 출시 지연 틈타

차세대 TV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일본과 중화권 업체들의 협공이 본격화되고 있다. 국내 업체가 주도하던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 시장 개화가 늦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생산이 쉬운 울트라고화질(UHD) TV로 한국을 추격하고 있다. 이들은 OLED TV에서도 이 같은 협력을 이어 가 삼성과 LG가 주도하는 ‘판’을 흔들겠다는 전략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TCL과 하이센스 등 중국 주요 TV 업체는 최대 성수기인 노동절(5월 1일) 특수를 겨냥해 UHD TV 제품을 대거 출시한다. 이들은 중국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펴본 뒤 해외시장에도 선보일 계획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제품의 가격이다. 50인치의 경우 약 1만 3000~4000위안(약 230만~250만원) 선에서 책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서 팔리는 같은 크기의 일반 LCD TV(풀HD 해상도)보다 2배 정도 비싸지만, 삼성·LG 등 국내 업체들이 선보일 예정인 50~60인치대 UHD TV 제품보다는 훨씬 저렴하다.

현재 삼성전자의 85인치 UHD TV는 4000만원, LG전자의 84인치 제품이 2500만원에 팔린다. LG전자의 55인치 OLED TV 역시 1100만원 정도다. 크기나 종류가 달라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중국 업체의 UHD TV가 상당히 저렴한 가격대로 책정됐다는 점은 쉽게 알 수 있다.

UHD TV는 LG전자가 지난해 하반기에 세계 최초로 출시해 이제 갓 시장이 생겨난 제품이다. 그럼에도 중국 업체들은 치메이이노룩스(CMI), AU옵트로닉스(AUO) 등 타이완 패널 업체들과 함께 UHD TV 관련 기술을 빠르게 확보하고 소니와 파나소닉, 샤프 등 일본 업체들의 자금난을 기회 삼아 기술제휴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중국의 UHD TV는 이런 노력의 산물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당초 업계에서는 ‘차세대 TV’로 OLED TV를 점쳐 왔다. UHD TV의 경우 활성화를 위해서는 TV 제조사 외에 방송사, 콘텐츠 생산자, 정부까지 나서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OLED TV 시장이 예상보다 늦게 열리면서 UHD TV가 틈새를 파고들었다. 현재 TV용 OLED 패널의 제조 원가가 LCD 패널의 8~10배 수준인 데다 양산도 쉽지 않아 대중화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이를 반영하듯 일본과 중화권 업체 간 제휴도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해 일본의 샤프와 타이완 폭스콘이 손잡은 게 대표적이다. 소니와 파나소닉도 타이완 AUO를 파트너 삼아 OLED TV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업체들은 “기술 격차가 커 당장 큰 문제는 없다”는 입장이지만, 장기적으로는 OLED TV 상용화에 사활을 걸어야 하는 상황이 됐다는 설명이다.

TV 업계 관계자는 “과거 LCD·플라스마디스플레이패널(PDP) TV의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대까지 떨어지는 데 최소 5~6년이 걸렸지만, UHD TV의 경우 중국 업체들이 대거 가세하면서 그 시기가 2~3년 이상 빨라질 것”이라면서 “2년 내에 중국 업체들도 OLED TV를 양산할 것으로 보여 시간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3-03-28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