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74세 근로자 절반은 청소·경비원

65~74세 근로자 절반은 청소·경비원

입력 2013-05-13 00:00
업데이트 2013-05-13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금 月141만원… 전체의 67%

고령층 임금근로자의 절반이 환경미화원과 경비원 등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노인가구의 71%인 180만 가구가 현재 자산 등으로는 사망하기 전까지 생활비를 충당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상당수 노인들이 질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지만 자녀 등의 도움 없이는 빈곤 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뜻이다.

류상윤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통계청의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세부 자료에 포함된 노인가구 2884가구에 대한 표본 조사 결과를 분석해 12일 ‘대한민국, 은퇴하기 어렵다’란 보고서를 내놨다.

노인가구는 가구주가 60~74세이면서 혼자 살거나 부부가 함께 사는 가구를 말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는 178만명, 경제활동참가율(2011년 기준)은 29.5%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인 12.7%의 두 배를 넘는다. 그만큼 일하는 노인들이 많다는 뜻이다. 65~74세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는 43%인 60만 8000명이다. 이 중 단순노무 종사자가 72.3%인 44만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청소원 및 환경미화원이 전체의 33%인 20만 6000명, 경비원·검표원이 23%인 14만명이었다.

일자리의 질이 떨어지다 보니 벌이 역시 변변찮은 처지다. 류 연구원은 “2011년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65~74세 임금근로자 평균 임금은 월 141만원으로 전체 평균 210만원의 67%에 그쳤다”면서 “2006년 이 비율이 71%였던 점을 고려하면 갈수록 고령층의 임금 조건은 악화되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 결과 다수의 노인가구는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

보고서가 추산한 노후 생활비를 위해 필요한 자산은 가구당 평균 2억 5000만원이다. 하지만 표본가구 중 71%는 보유자산이 2억 500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현재 자산으로 최소한의 생계비조차 충당할 수 없는 가구도 59%나 됐다. 전체 254만 노인가구 중 180만 가구가 죽을 때까지의 생활비를 조달할 수 없고, 이 중 151만 가구는 최소한의 생계비조차 댈 수 없다는 얘기다.

세종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3-05-13 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