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정부 전방위 압박에 현대제철 ‘사면초가’

여론·정부 전방위 압박에 현대제철 ‘사면초가’

입력 2013-05-14 00:00
업데이트 2013-05-14 1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진 공장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한 이후 현대제철이 각계의 압박에 직면하고 있다.

사고 직후 현대제철은 원청업체로서 안전관리에 소홀했고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해 피해를 키운 것이 아니냐는 여론의 포화를 맞았다.

새벽에 작업하다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에 무리한 일정에 맞춰 강행군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일었다.

특히 사망 원인으로 지목되는 아르곤 가스 주입과 관련, 근로자가 전로 내부에 들어갈 때 가스관이 전로에 연결된 상태였다는 것이 확인돼 예정된 인재(人災) 라는 지적도 나왔다.

정부가 유사 사고를 막겠다고 나서면서 실질적인 부담이 더 커질 전망이다.

고용노동부는 현대제철에 대해 한 달간 특별근로감독을 하기로 했다.

특별 감독인 만큼 투입되는 인력과 조사 폭이 수시 감독과는 사뭇 다를 것으로 보인다.

당진 제철소 A·B·C 구역 전체에 대한 설비 안전성 점검, 안전 교육, 작업 위험성 고지 여부 등 안전 관리 실태 전반이 조사 대상이다.

고용부는 천안지청 외에 다른 지방고용청의 인력까지 지원받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근로감독은 국세청의 세무조사, 공정거래위원회의 불공정 거래 행위 조사처럼 고용부의 대표적인 규제·감독 행위다.

현대제철 내부에서는 특별근로 감독에 따라 세부적인 조사가 시작되면 실질적인 업무는 사실상 뒷전으로 밀려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기회에 현대제철을 포함한 철강업체와 협력업체 간의 업무 관행을 점검하기로 했다.

관행에 따라 이뤄진 갑을 관계에 불합리한 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제도 개선 등을 권고·제안할 방침이다.

사태 해결에서 피할 수 없는 관문인 유족과의 협의도 과제다.

현대제철 측은 유족과 계속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족은 사고 원인의 명확한 규명과 사건 현장에 분양소를 설치하게 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일부 유족은 총수인 정몽구 현대차 회장이 와서 사과해야 한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다.

철강업계가 전반적인 불황을 겪고 있어 어려운 가운데 사고까지 발생해 회사의 부담을 키우는 양상이다.

현대제철은 올해 1분기에 매출액이 2조7천804억원으로 작년 같은 시기보다 21.7% 감소했고 영업이익 1천216억원으로 21.2%나 줄었다.

14일 현대제철의 한 임원은 “공급 과잉 때문에 현업 문제도 어렵다”며 분위기를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