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이하 실적 新연금저축 왜

기대이하 실적 新연금저축 왜

입력 2013-05-16 00:00
업데이트 2013-05-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약관 바뀌어도 매력없고 은행입장선 수익성 없고

지난 2일부터 다시 팔기 시작한 신(新)연금저축이 기대와 달리 판매 실적이 저조하다. 바뀐 약관이 고객의 가입을 유도할 수준이 아닌 데다가 은행들은 수익성이 없다며 판매에 시큰둥하기 때문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지난 2일부터 10일까지 500계좌, 모두 3억원어치의 신연금저축 상품을 팔았다. 우리은행은 13일까지 2933계좌, 5억1100만원어치를 팔았다. 국민은행은 특별히 판매 실적을 관리하지 않는다며, 하나은행은 실적이 저조하다며 판매 실적을 공개하지 않았다.

은행들은 신연금저축 상품 자체가 큰 매력이 없다는 것을 저조한 판매 실적의 원인으로 꼽았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모든 은행이 똑같은 약관으로 팔고 있어 특별히 관리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최소 가입기간이 10년에서 5년으로 줄어들었지만 고객 입장에서는 10년이나 5년이나 가입기간이 길다고 느끼는 데다가 이전 상품이나 이번 상품이나 소득공제 한도가 400만원으로 똑같아 별다른 이점이 없다”고 지적했다.

연금저축이란 일정 기간 돈을 납입하면 만 55세 이후부터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3-05-16 1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