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두 노조 통합 합의...1만명 거대노조 탄생

건보공단 두 노조 통합 합의...1만명 거대노조 탄생

입력 2013-06-19 00:00
업데이트 2013-06-19 0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 9월까지 민주·한국노총 탈퇴”…”조합원 찬반투표 가결 가능성 높아”

13년간 대립해온 건강보험공단의 양대 노조가 통합에 합의, 내년 10월 조합원 1만명의 거대 공공기관 노조가 새로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19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민주노총소속 전국사회보험지부(사보노조)와 한국노총소속 건강보험공단직장노동조합(직장노조) 집행부는 최근 9차례에 걸친 노·노통합추진위원회 회의 끝에 단일노조 결성 원칙과 통합 로드맵에 합의했다.

조창호 사보노조 정책기획실장은 “지난 13년간 이어진 반목과 불신의 고리를 끊고, 미래를 위해 통합하는 데 양대 노조 집행부 등 중앙집행위원들이 뜻을 같이 했다”고 말했다.

사보노조와 직장노조는 내년 9월30일자로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을 각각 탈퇴하고 10월1일자로 단일 노조를 출범시키는 로드맵을 도출했다.

두 노조는 통합안을 곧 조합원 찬반투표에 부칠 계획이다.

양대 노조 통합안이 찬반투표에서 가결되면 조합원 1만명의 ‘거대 노조’가 출범하게 된다. 산별 조직이 아닌 개별 노조로서 조합원 1만명 이상은 전국철도노조 등 손에 꼽을 정도로 드물다.

건보공단 출범 이후 줄곧 대립해온 두 노조가 논의 두 달만에 통합에 전격 합의하자 건보공단 안팎에서 ‘의외’라는 반응들이 나오고 있다.

사보노조 관계자는 “노노 통합논의가 시작된 지난 4월에만 하더라도 이처럼 일사천리로 진행될 줄 몰랐다”고 말했다.

두 노조의 반목의 역사는 지역의료보험과 직장의료보험 통합 때부터 시작됐고 재정통합이 단행된 2003년에 최고조에 달했다.

그러나 최근 몇년 새 두 노조 모두 신규 조합원 급감을 겪으며 위기의식을 갖게 됐고, 통합안 추진에 힘이 쏠린 것으로 전해졌다.

건보공단 관계자는 “두 노조의 집행부뿐만 아니라 조합원 사이에도 단일노조 출범에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통합안이 찬반투표를 통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