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금융시장… 나에게 유리한 대출은

불안한 금융시장… 나에게 유리한 대출은

입력 2013-06-21 00:00
업데이트 2013-06-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기 상환 땐 변동금리 장기 상환 땐 고정금리

저금리 기조로 코픽스금리는 떨어지는 반면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적격대출 금리는 오르고 있다. 같은 주택담보대출이라도 변동금리냐 고정금리냐에 따라 최소 1% 포인트 차이가 난다. 전문가들은 단기에 상환할 계획이라면 변동금리, 장기 상환은 고정금리가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20일 농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는 연 2.95%(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 변동 금리)까지 떨어졌다. 매월 조금씩 하락해 온 코픽스금리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 중이다. 이달 은행연합회가 공시한 5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금리는 2.66%로 전월보다 0.08% 포인트, 잔액 기준 코픽스금리는 3.17%로 전월보다 0.08% 포인트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 중 코픽스금리를 기준으로 하는 상품이 70~80%에 육박하면서 전체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금리가 내려갔다. 은행별 최저 금리는 농협(연 2.95%), 신한(연 3.16%), 하나(연 3.20%) 순으로 낮았다.

반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움직임으로 국고채 등 채권금리가 뛰면서 적격대출 금리는 연 4%대로 올랐다. 적격대출은 9억원 이하 주택을 담보로 한 10~30년 장기분할상환 대출로, 은행과 주택금융공사 협약에 따른 상품이다. 시중은행 적격대출 금리는 지난달만 해도 우리 3.75%, 신한 3.80% 등으로 3%대였다. 그러나 이달 들어 모든 은행이 4%대로 올리면서 연 4.10%인 농협은행이 가장 낮고 외환(연 4.13%), 우리(연 4.14%), 하나(연 4.19%) 순이 됐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금융시장이 출구전략을 논의하는 만큼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전반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을 받을 거라면 가능한 한 일찍 받는 것이 낫다”고 조언했다.

특히 단기(1~2년)에 갚을 계획이라면 변동금리, 3년 이상 장기 상환 계획이라면 고정금리로 대출받는 것이 유리하다. 임희열 국민은행 WM사업부 팀장은 “이미 초저금리 상태여서 더 떨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 “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을 때에는 변동금리 상품보다는 고정금리로 대출하는 게 더 유리하다”고 말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3-06-21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