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 시장 1위 선점” 롯데·LG·SK 각축전

“에틸렌 시장 1위 선점” 롯데·LG·SK 각축전

입력 2013-06-29 00:00
업데이트 2013-06-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석유화학산업의 핵심 원료인 ‘에틸렌’ 시장을 놓고 롯데와 LG, SK의 1위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각축전의 형세를 보면 LG화학이 여수공장 증설을 통해 전통의 1위 롯데케미칼의 국내 생산량을 곧 앞지르려 하고 있으나, 해외에서 인수한 공장의 생산량까지 포함하면 여전히 롯데가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 사이에 SK종합화학이 중국에 합작공장 설립에 성공하면서 두 선두업체를 바짝 압박하고 있다. ‘규모의 경제’를 위한 몸집 불리기에 나선 것이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내년 하반기 생산을 목표로 여수 공장의 나프타분해설비(NCC)에 연산 15만t 증설을 추진 중이다. 이로써 에틸렌 생산량은 여수 115만t, 기존의 대산 100만t을 합쳐 총 215만t에 이른다. 이는 롯데케미칼의 211만t을 앞질러 국내 1위를 자랑하는 규모이다. LG화학은 또 카자흐스탄 아티라우에 42억 달러를 들여 에틸렌 84만t 등을 생산하는 석유화학 콤플렉스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LG화학은 미국 컨설팅업체가 전 세계 115개 NCC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 경쟁력 부문 세계 1위에 올랐다. 여수 NCC 공장의 ㎏당 필요 열량이 4100㎉로, 조사업체 평균보다 40%가량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반면 롯데케미칼은 추가 증설 계획은 아직 없지만 2010년 인수한 인도네시아의 자회사 ‘타이탄’의 생산량까지 합치면 총 283만t으로 LG화학을 앞선다. 롯데케미칼은 타이완의 포모사(연 294만t)에 이어 아시아 2위, 세계에서는 12위다. 따라서 국내 생산만 보면 추월을 허용할 수밖에 없지만 해외 공장까지 포함하면 여전히 건재함을 과시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SK종합화학이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 에틸렌 8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합작공장을 짓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국 최대 석유기업인 시노펙(지분 65%)과 합작으로 투자한 이 공장은 올 하반기부터 본격 생산에 들어간다. 이로써 SK종합화학은 국내 생산 86만t과 합쳐 총생산량 166만t으로 기업 순위를 5위에서 4위로 한 단계 끌어올렸다. 이 합작공장은 필요에 따라 생산 규모를 늘릴 방침이어서 에틸렌 각축전은 계속되는 상황에 있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2016년까지 에틸렌의 세계 수요 증가율은 연평균 4.0%로 공급 증가율 3.7%를 웃돌 것으로 예상돼 전망이 밝다”고 말했다.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2013-06-29 1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