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맥주 열풍 지속…와인 처음으로 제쳐

수입맥주 열풍 지속…와인 처음으로 제쳐

입력 2013-06-30 00:00
업데이트 2013-06-30 1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형마트서 6월 매출 와인 추월

이른 무더위 속에 수입맥주 수요가 계속 늘면서 대형마트에서 수입맥주 매출이 처음으로 와인 매출을 넘어섰다.

롯데마트는 6월1일부터 27일까지 주류 매출을 분석한 결과, 수입맥주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 늘어난 16억1천만 원으로, 와인(15억1천만 원)보다 1억 원이 많았다고 30일 밝혔다.

월별 기준 수입맥주 매출이 와인 매출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롯데마트는 설명했다.6월 수입맥주 매출은 병소주 매출(14억5천만 원)보다는 1억6천만 원 많다.

5년 전인 2008년 수입맥주 매출은 와인 매출의 40%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0년께부터 국내 맥주 소비자들의 수입품 선호 현상이 커지고 대형마트에서도 다양한 수입맥주를 취급하면서 점차 매출이 늘었다.

그 결과 수입맥의 연간 와인 대비 매출은 2008년 36%에서 2009년에는 37%, 2010년 42%를 거쳐 2011년 와인의 절반을 넘어선 53%, 2012년에는 57%까지 꾸준한 상승곡선을 그렸다.

더욱이 수입맥주 선호 현상은 한국 맥주가 맛이 없다는 한 외신의 지난해 연말 보도를 둘러싼 논란 이후 가속화해 상반기 수입맥주 매출은 와인의 70% 선에 육박하고 있다.

실제로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맥주 수입액은 2008년 3천937만3천 달러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7천358만8천 달러로 87%나 늘었다.

올해 1∼5월 맥주 수입액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5% 증가한 3천45만8천 달러에 달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연간 기준 맥주 수입액이 사상 처음으로 1억 달러를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국가별로는 아사히로 대표되는 일본 맥주 수입액이 2008년 732만5천 달러에서 지난해 2천638만8천 달러로 3배 이상으로 늘면서 맥주 수입증가세를 주도했다.

반면, 하이네켄으로 대표되는 네덜란드 맥주 수입량은 7.3% 증가에 그쳤고, 밀러 등 미국 맥주 수입량은 오히려 12.2% 줄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미국·일본 순이었던 국내 수입맥주 국가별 점유율 순위에서 2010년 이후 일본이 네덜란드를 밀어내고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 맥주는 아일랜드·독일 맥주 등에 밀려 순위가 처져 있다.

롯데마트에서 상반기에 매출액 기준 수입맥주 판매 1위는 아사히 수퍼드라이(캔·500㎖), 2위는 L바이젠, 3위는 하이네켄(캔·500㎖), 4위는 L라거, 5위는 아사히 수퍼드라이(캔·350㎖) 등으로 5위 이내에 일본 제품이 2개나 포진했다.

이영은 롯데마트 주류 상품기획자는 “해외 여행이나 유학을 다녀온 20~30대의 젊은층을 중심으로 수입맥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롯데마트도 2010년 이후 수입맥주 상품을 대폭 늘려 현재 25개 브랜드 140여개 품목을 판매하고 있다”면서 “연말까지 30여 개 브랜드 150여 품목으로 상품구성을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