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센터 하노이’ 베트남 중심에 우뚝 서다

‘롯데센터 하노이’ 베트남 중심에 우뚝 서다

입력 2013-09-04 00:00
업데이트 2013-09-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 6월 준공… 막바지 공사 현장을 가다

2일 오전 베트남 하노이 호안끼엠 루이지아이 거리. 여러 나라 대사관과 외국인학교 등이 몰려 있는 중심가에 우뚝 선 ‘롯데센터 하노이’ 건물이 웅장함을 발산하고 있었다. 베트남 전통 복장인 ‘아오자이’를 형상화한 빼어난 외관이 일품이다.

이미지 확대
하노이 최대 번화가인 호안끼엠 루이지아이 거리에서 바라본 롯데센터 하노이. 아오자이를 형상화해 설계한 건물로 빼어난 건축미를 자랑하고 있다.
하노이 최대 번화가인 호안끼엠 루이지아이 거리에서 바라본 롯데센터 하노이. 아오자이를 형상화해 설계한 건물로 빼어난 건축미를 자랑하고 있다.
고급 소비층이 늘어나고 관광객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베트남에서 발빠른 투자를 통해 쌓아올린 이 거대한 롯데타운은 롯데그룹의 창조경제 현장이라 할 수 있다.

롯데건설이 시공하고 있는 이 건물은 지하 5층, 지상 65층짜리로 내년 6월 완공되면 하노이에서 두 번째 높은 건물로 자리 잡는다. 연면적이 서울 여의도 63빌딩보다 1.6배 넓다. 123층으로 짓고 있는 잠실 롯데월드몰의 3분의1 크기이다. 건물을 짓는 데만 4억 달러를 투자했다.

빌딩 구성은 서울 잠실의 롯데타운과 유사하다. 지하 1층~지상 6층은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가 입점한다. 8~31층은 일반 사무실로 쓰인다. 33~64층에는 특급호텔 318실과 서비스드레지던스(호텔형 고급 아파트) 258실이 들어서는 복합건물이다. 꼭대기층은 전망대로 꾸민다.

겉으로는 건물이 1개 동(棟)처럼 보였지만 안으로 들어서자 2개 동이 나타났다. 7층 이하는 하나의 건물이고 그 이상은 두 건물이 올라가고 있다. 건물 사이 공간을 커튼월 유리를 이어 붙여 하나의 건물로 보였다. 65층 전망대에 오르자 하노이 전경이 한눈에 들어왔다. 앞으로 관광 명소로 자리 잡을 것이 확실해 보인다. 건물 안에서는 근로자들이 배관 파이프와 전선을 들고 설비·전기공사에 분주했다. 지하층에서는 골조 마감작업이 진행 중이다.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김명국 상무는 “신동빈 회장이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는 사업”이라며 “신 회장이 강조하는 글로벌 마케팅, 신흥국 공략의 동남아 전초기지로 태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신 회장이 빌딩 외관 디자인, 색채까지 신경 쓸 정도로 관심을 쏟고 있다고 전했다.

베트남 정부도 관심이 지대하다. 부동산 개발이 아닌 숙박·유통시설 등이 함께 들어서는 복합빌딩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7월에 있었던 상량식에는 응우옌 티 도안 베트남 국가 부주석도 참석해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하지만 난관도 많았다. 특히 이 지역은 연약지반이라서 가급적 지하층을 건설하지 않는다. 정형철 현장 소장은 “지하 5층 건물을 짓는 것이 하노이에서 처음”이라고 말했다.

롯데건설은 지반을 다지려고 무려 지하 40m까지 파일 445개를 박았다. 건물 하중에 튼튼하게 견디도록 하기 위해 당초 설계한 8000t의 하중을 1만 1000t으로 강화한 것이다.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토질이라 자동계측 장비를 설치하고 전문가가 24시간 상주했다.

지하층 콘크리트 타설도 난공사였다. 비가 잦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에서 콘크리트 최대 분량(2900대분)을 52시간 연속 타설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지하 공사를 마친 뒤에는 자동화·단순화로 공기를 앞당겼다. 건물 1개층을 올리는 데 3.5일밖에 걸리지 않았다. 정 소장은 “안전사고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며 “농촌에서 올라온 근로자들에게 안전의식과 시공기술을 교육해 가며 공사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말했다.

글 사진 하노이(베트남) 류찬희 기자 chani@seoul.co.kr

2013-09-04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