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경기 완만한 개선…신흥국 경제둔화 우려”

기재부 “경기 완만한 개선…신흥국 경제둔화 우려”

입력 2013-09-10 00:00
업데이트 2013-09-10 1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를 바라보는 정부의 시각이 긍정적인 톤을 유지했다. 그러나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신흥국 경제가 둔화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기획재정부는 10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9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자동차 파업 등으로 증가세가 제약됐지만 주요 지표가 완만한 개선세를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린북 8월호에서 “경기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던 평가보다 한 발 나아간 모습이다.

7월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취업자 수가 36만7천명 늘어 두 달 연속 30만명대 증가폭을 유지했고, 전(全) 산업 생산은 전달보다 0.3% 늘었다. 건설투자는 토목 증가세에 힘입어 0.8% 증가했다.

다만, 광공업 생산은 자동차 부문의 파업 영향으로 전달보다 0.1% 감소했다. 경기 선행지표인 설비투자지수도 2.5% 하락했다.

이형일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기업의 (투자) 심리지수가 나쁘고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해 설비투자 지수의 개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내수는 6, 7월 소매판매가 연속 늘어난 데 이어 회복세를 이어갔다.

기재부가 집계한 8월 소매판매 속보치를 보면 전년 동기 대비 백화점 매출액(7.0%), 신용카드 국내승인액(7.6%)이 증가하고 할인점 매출액(-2.4%)은 전달(-4.9%)보다 감소폭이 줄었다. 더운 날씨 탓에 에어컨 등 가전제품 소비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휘발유 판매량이 11.4% 늘었고,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는 지난해 파업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23.9% 증가했다.

이형일 과장은 “8월 현대·기아자동차의 파업에 따른 생산량 감소폭보다 7월 한국GM의 파업 종료에 따른 8월 생산량 증가 폭이 더 크다”며 “8월 승용차 내수판매에 파업이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기재부는 세계 경제가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여부와 관련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신흥국 경제가 둔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의 채무 한도 협상, 시리아 공습 가능성 등 불안요인도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은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전기 대비 0.3%를 기록해 7분기만에 침체에서 벗어난 모습이지만, 높은 실업률이 불안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