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협보험금 반납기한 연장·대출 전환 필요”

“경협보험금 반납기한 연장·대출 전환 필요”

입력 2013-09-16 00:00
업데이트 2013-09-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성공단 16일 재가동… 옥성석 기업협 부회장 인터뷰

개성공단 입주 기업은 16일부터 본격적인 재가동에 들어간다. 지난 4월 3일 북한이 개성공단 출입을 통제한 지 166일 만이다. 기쁨도 잠시, 기업인들은 마주한 숙제들로 시름에 잠겼다. 옥성석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은 이날 전화 통화에서 “기업들은 경협보험금 반납, 주문 확보, 자금 부족, 인력난 등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며 정부에 관련 대책을 촉구했다.

수출입은행은 입주 기업에 개성공단 잠정 폐쇄로 받은 경협보험금을 다음 달 15일까지 반납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전체 123개 기업 가운데 46곳이 1485억원의 보험금을 받았다. 옥 부회장은 “부도 사태를 막으려고 보험금을 받아 대출금을 갚고 밀린 임금을 지불한 기업이 많다”면서 “보험 계약상 정상화 시점부터 한 달 안에 보험금을 반납해야 하지만 그럴 수 없는 기업이 대부분”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보험금 반납 기한을 연장하거나 보험금의 일부를 대출 형태로 전환해 나누어 갚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게 기업들의 의견이다.

지난달 22일부터 개성공단을 드나들며 준비한 덕분에 대부분의 기업은 이날부터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하지만 공단 운영이 5개월간 중단되면서 주문이 끊겼다. 주문이 없으니 개점휴업 상태와 다름없다. 의류업체 나인모드를 운영하는 옥 부회장도 마찬가지다. 그는 “제일모직, LG패션 등 원청 업체들이 주문을 주겠다고 약속은 했지만, 한 계절을 앞서 가는 의류산업 특성상 가을·겨울 옷을 생산하긴 늦고, 내년 봄옷을 만들기에는 이른 시점”이라면서 “당분간은 공장을 풀 가동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손에 돈을 쥐려면 적어도 3개월은 걸린다고 기업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공장을 돌리기 시작하면 당장 고정 비용이 발생한다. 전기·수도세와 같은 유지비, 북한 근로자 인건비 등이다. 보험금도 다 써버린 마당에 추가로 들어갈 자금을 마련하려면 또 돈을 빌려야 한다. 기업들의 사정을 고려해 기업은행은 한 곳당 5억원까지 모두 3000억원을 낮은 이자로 빌려 주겠다고 15일 밝혔다.

옥 부회장은 “올해 개성공단 기업들의 매출 및 이익은 지난해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칠 것”이라면서 “이익을 낸 기업이 없으니 세금도 낼 수 없고, 신용평가도 제대로 받기 어렵다”고 말했다. 은행들이 대출심사를 할 때 일반 기업과 달리 특수적인 상황을 고려해 줘야 한다는 것이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3-09-16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