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자 6년만에 줄었다

자살자 6년만에 줄었다

입력 2013-09-26 00:00
업데이트 2013-09-26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1만4160명… 11%↓

사회적 박탈감 등으로 늘던 자살자 수가 지난해 6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유명인 자살을 따라하는 ‘베르테르 효과’가 없었고, 자살에 주로 사용되던 농약 ‘그라목손’의 생산 중단 등이 이유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12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자는 1만 4160명으로 2011년보다 1746명(-11.0%) 줄었다. 하루에 38.8명꼴로 자살한 것으로 2011년(43.6명)보다 5명가량 줄었다.

남성의 자살 사망률(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은 38.2명으로 전년보다 11.8%, 여성의 자살 사망률은 18.0명으로 10.4% 하락했다.

자살이 줄어든 건 2006년 이후 처음이다. 2002년 8612명이었던 자살자는 2010년 1만 5566명으로 급증했다. 이재원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유명인이 자살한 직후 두달 정도 자살률이 높아지는데, 2012년에는 유명인 자살이 거의 없었다”면서 “자살 수단으로 많이 쓰였던 그라목손 등 맹독성 제초제의 유통을 2011년 11월부터 금지한 영향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전체 사망자는 26만 7221명으로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83년 이후 가장 많았다. 2011년보다 남성(14만 7372명)은 2.9%, 여성(11만 9849명)은 5.0% 늘었다. 2011년에 비해 70대 사망자는 6.0%, 80세 이상은 9.6% 증가했다. 반면 20대(-14.0%), 10대(-12.5%), 30대(-5.4%)는 감소했다.

사망자 성비는 50대가 2.96배로, 그 차가 가장 컸다. 50대 여성이 1명 죽었을 때 남성은 2.96명 사망했다는 의미다.

사망 원인 1위는 암(악성신생물)으로 전체 사망 원인의 27.6%를 차지했다. 2위는 심장질환(9.9%), 3위는 뇌혈관질환(9.6%)이었다. 이외 자살, 당뇨병, 폐렴, 기관지염(만성하기도질환), 간 질환, 운수 사고, 고혈압성 질환 순이었다. 연령별로 10~30대의 사인 1위는 자살이었고 다른 연령층은 모두 암이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3-09-26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