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 출범 후 수도권 신도시 전세가 4.47%↑

박근혜정부 출범 후 수도권 신도시 전세가 4.47%↑

입력 2013-10-02 00:00
업데이트 2013-10-02 08: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수도권 1, 2기 신도시의 전세가격이 4.4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닥터아파트는 지난 3월부터 9월 하순까지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을 조사한 결과 신도시 전셋값 상승률이 이처럼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4.24%의 오름세를 보인 분당 등 1기 신도시보다 5.27% 오른 판교 등 2기 신도시의 전세가 상승률이 더 큰 것으로 드러났다.

입주 초기 역전세난까지 우려했던 광교신도시의 경우 이 기간 전세가 상승률이 무려 20.9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입주 2년차를 맞은 광교에 강남권 전세 난민이 몰리며 전세가를 끌어올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어 판교(6.41%), 평촌(5.06%), 중동(4.73%), 분당(4.31%), 일산(3.56%) 순으로 변동률이 높았다.

권일 리서치팀장은 “신도시 전셋값 상승폭이 큰 것은 서울 전세가 상승에 부담을 느낀 세입자들이 수도권 1, 2기 신도시로 대거 이주했기 때문”이라며 “신도시에서 전셋집을 구하지 못하면서 용인, 파주, 화성 등으로 옮겨가는 전세 난민도 급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후 수도권 전체의 전세가 상승률은 3.89%로 집계된 가운데 서울은 3.51%, 경기도 3.94%, 인천 2.94%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 기간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가는 0.21% 떨어져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0.16% 빠졌고, 경기도와 인천은 0.28%씩 가격이 내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