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개 공공기관 작년에 고졸자 1명도 채용 안했다

141개 공공기관 작년에 고졸자 1명도 채용 안했다

입력 2013-10-10 00:00
업데이트 2013-10-10 09: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95개 공공기관 중 약 절반이 정부의 고교 졸업자 채용 유도 정책을 외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이 현대중공업 구인담당자와 취업상담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고등학생들이 현대중공업 구인담당자와 취업상담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기획재정부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민주당 이낙연 의원에 10일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95개 공공기관이 지난해 채용한 1만5천596명 중 1천930명이 고졸자였다.

전체 채용자 중 고졸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2.4%로 2009년 3.2%, 2010년 4.1%, 2011년 4.2%에 이어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 중이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에서도 141개 공공기관이 지난 한해 동안 고졸자를 단 1명도 채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립중앙의료원, 전북대병원, 기초과학연구원, 강원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국립암센터는 100명 이상의 직원을 채용하고도 고졸자를 1명도 선발하지 않았다.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등도 10명 이상의 직원을 채용하면서 고졸자를 외면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경우 신규채용 486명 가운데 고졸자는 198명에 달했다. 한국전력은 683명 중 197명, 한국철도공사는 412명 중 140명, 한국수력원자력은 697명 중 132명을 각각 고졸 공채로 선발했다.

정부는 고졸자 채용 인원 수에 비례해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가산점을 주는 방식으로 고졸자 채용을 권장하고 있다.

이낙연 의원은 “공공기관은 사회의 편견을 깨는데 모범을 보여야 함에도 공공기관 절반이 고졸 채용을 한 명도 하지 않았다는 것은 문제”라면서 “정부가 좀 더 적극적으로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