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학대·안전사고·실종 피해아동 13만명”

“10년간 학대·안전사고·실종 피해아동 13만명”

입력 2013-10-13 00:00
업데이트 2013-10-13 13: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현숙 의원 “사후대책 보다 예방대책이 중요”

지난 10년간 학대와 안전사고, 실종 등으로 피해를 본 아동이 13만여명에 달해 예방에 초점을 맞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현숙 의원(새누리당)이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2003년~2012년 아동학대 발생 및 아동안전사고 사망자 현황’ 자료와 ‘2006년~2013년 6월 실종아동 발생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체적으로 최근 10년간 아동학대와 아동안전사고, 실종 등으로 피해를 본 아동이 13만2천359명에 달했다.

먼저 아동학대 발생건수는 2003년 2천921건에서 2012년 6천403건으로 약 2.2배로 느는 등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3년~2012년 총 5만1천609건에 달했다.

교통사고, 추락, 익사, 화재, 중독 등으로 말미암은 아동안전사고 사망자수는 줄어드는 추세지만 그럼에도 2003년~2012년 총 7천58명에 달했다.

특히 2006년~2013년 6월 현재까지 총 7만3천692명의 아동이 실종됐고, 이 중에서 아직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아동이 639명이나 됐다. 실종 이후 발견하지 못한 아동수는 2006년 13명에서 2013년 6월 351명으로 약 27배 이상 증가했다.

김 의원은 “고통받는 아이들이 이처럼 많다는 사실이 놀랍고 안타깝다”며 “사후대책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예방대책을 면밀하게 세워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