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 청년 이직 비율 ‘뚝’

불황에 청년 이직 비율 ‘뚝’

입력 2013-10-14 00:00
업데이트 2013-10-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4세 이하 ‘이직경험’ 49.3%

다니던 직장을 한 차례 이상 옮겨본 적이 있는 청년 인구의 비중이 처음으로 절반 아래로 떨어졌다. 불황이 길어지면서 마땅히 옮겨갈 곳도 없고 하다 보니 직장이 못마땅해도 그냥 숨죽이고 다니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13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청년부가조사에 따르면 올해 1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인구 가운데 이직 경험이 있는 사람은 전체의 49.3%로 나타났다. 학업을 마치고 사회생활을 시작해 직장을 잡았다가 이후 다른 곳으로 한 번 이상 옮겨본 적이 있는 사람들이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4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남성과 여성이 각각 48.1%와 50.1%로 역대 최저였다.

청년 인구의 이직 비율은 경제불안의 충격이 기업 경영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시점에 급상승하는 특성이 있다. 2003년의 대규모 카드 사태가 마무리되던 2005년에 56.4%로 역대 가장 높았다. 2008년 일어난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이 잦아들던 2010년에도 56.1%로 역대 두 번째였다. 기업들이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비자발적 이직이 늘어나는 데다 스스로 현재 직장에 안정감을 못 느껴 옮기는 경우가 많아서다.

올해 청년 이직 비율의 하락은 계속되는 경기침체와 관련이 깊다. 이직할 자리도 적고, 이직한 회사가 안정적이라는 보장도 낮다. 특히 옮겨서 임금이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양혁승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는 “경제위기로 파생되는 구조조정 시기가 지나면 청년들은 임금 인상보다는 일자리의 안정성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생긴다”면서 “2010년 금융위기 이후 청년들이 공무원, 공기업, 교사 등 안정적 일자리를 더 많이 선호하게 된 것도 같은 이유”라고 말했다.

해고, 구조조정, 비정규직 계약해지 등 비자발적 이직이 줄어든 것도 청년 인구의 직장 이동이 줄어든 원인으로 지목됐다. 박상현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입사 시점에 일용직이나 비정규직인 경우 이직이 많아지는데 정규직 전환을 전제로 한 청년인턴제도, 2년 이상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정부 정책도 청년들의 이직을 줄인 이유가 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금재호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청년의 이직이 개인적으로 합리적 선택이라 해도 국가경제에는 실업에 따른 비용을 발생시킨다”면서 현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진로지도 강화, 청년 고용서비스 강화 등으로 업무 궁합이 맞는 직장을 찾아주는 한편 이직 위험성이 높은 업종에 대해 직장생활 상담, 정보제공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3-10-14 1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