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업 종사자 30% 월급여 400만원 이상<통계청>

금융업 종사자 30% 월급여 400만원 이상<통계청>

입력 2013-10-30 00:00
업데이트 2013-10-30 1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림어업 월 100만원 이하 58%…업종간 대비 뚜렷

금융·보험업과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종 근로자 10명 중 3명꼴로 월 임금이 400만원 이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림어업 부문은 월 급여 100만원 이하인 종사자가 절반을 넘었다.

통계청은 30일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을 주제로 이런 내용의 2013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월 100∼200만원 급여생활자 가장 많아

올해 4월 기준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산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산업 전체의 임금수준 분포는 월 100∼200만원 미만이 38.3%로 가장 많고 200∼300만원 미만이 24.1%로 뒤를 이어 전체 임금 근로자의 62.4%가 100∼300만원 미만의 급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100만원 미만의 임금근로자도 13.5%를 차지했다.

월 300∼400만원 미만은 12.3%, 월 400만원 이상은 11.8%였다.

월 400만원 이상 고임금 근로자가 가장 많은 산업 분야는 금융·보험업으로 30.2%를 차지했다.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이 29.5%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고,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24.2%),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19.5%) 등도 비교적 고임금 근로자 비중이 다른 분야보다 컸다.

반면 농림어업 분야는 월 100만원 미만 임금 근로자가 58.0%로 절반을 넘었다. 농림어업 종사자 가운데 월 400만원 이상 급여 생활자는 3.5%에 불과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 분야도 월 1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가 33.3%로 다른 분야보다 비중이 컸다.

◇건설업 92% 남성 고용…여성은 보건·사회복지 많아

4월 기준 전체 취업자 2천510만3천명을 산업 대분류별로 살펴보면 제조업(16.7%), 도매 및 소매업(14.3%), 숙박 및 음식점업(7.7%)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성별 취업자 비율을 보면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건설업은 92.2%에 달했고 운수업(90.6%),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73.0%) 등도 남성 비율이 높았다.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81.4%로 가장 높고 교육서비스업(66.4%), 숙박 및 음식점업(65.4%) 등도 여성이 다수를 차지했다.

76개 산업 중분류별 취업자 규모를 살펴보면 소매업(자동차 제외)이 217만1천명(8.6%)으로 임금근로자가 가장 많고, 이어 음식점 및 주점업(180만명, 7.2%), 교육서비스업(172만7천명, 6.9%) 등의 인원도 많았다.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산업은 교육서비스업으로 76.4%였고,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62.6%),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60.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사무종사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금융 및 보험업(52.2%),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46.1%) 부문이 높게 나타났다.

단순노무종사자는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49.0%)이 가장 많았다.

◇관리자 69% 월 400만원 이상…단순노무 91% 월 200만원 미만

산업이 아닌 직업(대분류)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취업자 비율을 비교해 보면 관리자 중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88.9%로 여성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87.0%)와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85.9%) 등 기술 관련 분야도 남성 비중이 컸다.

서비스 종사자 가운데서는 여성이 66.2%로 남성보다 많았다.

직업 대분류별로 임금 수준을 살펴보면 관리자가 월 400만원 이상 임금을 받는 비율이 68.6%로 가장 높고, 그 외 직업에서는 월 100∼200만원 미만 비율이 높았다.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와 사무종사자는 월 300만원 이상 근로자의 비율이 각각 39.7%, 36.2%였다.

반면 단순노무종사자는 월 2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가 91.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