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소비자물가 작년比 0.7%↑…14년來 최저

10월 소비자물가 작년比 0.7%↑…14년來 최저

입력 2013-11-01 00:00
업데이트 2013-11-01 08: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근원물가 1.6%↑, 생활물가 0.3%↓, 신선식품지수 11.1%↓

기상 여건 호전에 따른 농산물 가격 하락 여파로 10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두 달째 0%대로 둔화, 14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0.7% 상승했다.

이는 1999년 7월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3%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소비자물가는 올해 들어 1.0∼1.5%대를 오르내리다 7월 1.4%, 8월 1.3%를 보인 이후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으며 9월에 0.8%로 0%대에 진입한 바 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10월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6% 상승했고 전달과 같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의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1.4%, 전월 대비 0.1%였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3%, 전월과 비교해서는 0.6% 하락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1.1%, 전달보다 6.5% 내렸다.

이 가운데 신선채소가 작년 같은 달보다 17.8% 떨어졌고 기타신선식품(-16.2%), 신선과실(-10.6%), 신선어개(-0.4%)도 모두 하락했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전달과 비교해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0.3%), 기타상품 및 서비스(0.3%), 주택·수도·전기 및 연료(0.2%) 등이 올랐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2.0%), 오락 및 문화(-0.6%), 교통(-0.5%) 등은 떨어졌다.

1년 전과 비교해선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1.8%) 부문의 내림폭이 가장 컸고 교통(-1.4%)도 하락했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작년 같은 달 대비 5.4%, 전달 대비 4.1% 각각 하락했다.

한 달 전보다 배추(-43.8%), 돼지고기(-6.0%), 시금치(-52.8%), 배추(-18.7%) 등이 많이 내렸다.

공업제품은 한 달 전보다 김치냉장고(15.6%), 부침가루(16.7%), 핸드백(10.9%) 가격이 올랐으나 휘발유(-1.7%), 경유(-1.5%) 등 유류제품은 내려 전체적으로는 변함이 없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0% 올랐다.

도시가스(5.2%), 전기료(2.0%), 지역난방비(5.0%) 등 공공요금은 1년 전에 견줘 들썩거려 서민 생활에 주름을 깊게 했다.

전세(3.1%), 월세(1.6%) 가격도 1년 전보다 올라 집세 상승세(2.6%)를 이어갔다.

개인서비스는 작년 같은 달보다 1.0% 올랐고 전달과는 변동이 없었다. 전년보다 공동주택관리비(8.1%), 중학생 학원비(3.3%) 등이 상승했다.

전달과 비교해선 휴가철 성수기가 끝나 국내 단체여행비(-5.1%), 콘도이용료(-5.2%), 해외 단체여행비(-2.2%) 등이 떨어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기상 여건이 좋아 농산물 작황이 개선되면서 농산물 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데다 석유류 가격도 낮아지면서 저물가 기조가 이어졌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