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스펙을 던지다

대기업 스펙을 던지다

입력 2013-11-11 00:00
업데이트 2013-11-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입채용 서류보다 면접

신입사원을 뽑을 때 출신 학교나 영어성적 등 이른바 ‘스펙’ 대신 인성이나 자질을 중요하게 보는 대기업이 늘었다. 스펙은 최소한의 지원 적격 여부를 따지는 요소일 뿐이지, 적합한 인재상을 가려내는 데 작용하는 핵심 잣대는 아니라는 것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0일 150개 대기업과 175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올해 신입사원 채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력서 등 서류전형의 비중은 점차 줄고 면접전형의 비중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과정에서 대기업의 서류전형 비중은 올해 27.2%로 2011년(38.4%)보다 11.2% 포인트나 줄었다. 중소기업의 서류전형 비중도 올해 38.0%로 40.3%였던 2011년보다 줄었다. 반면 면접전형의 비중은 대기업이 2011년 53.3%에서 올해 61.2%로 7.9% 포인트 증가했고, 중소기업도 같은 기간 57.2%에서 59.4%로 소폭 상승했다.

면접의 횟수는 증가했다. 두 번 이상 면접을 보는 대기업은 전체의 86%로 2008년(48.9%)보다 크게 늘었다. 반면 면접을 한 번만 보는 대기업은 2008년(51.1%)보다 줄어든 14%에 그쳤다. 중소기업은 1회 면접 기업이 전체의 57.5%로 2회 면접 기업(42.5%)보다 많았지만, 해마다 면접을 2회 보는 기업이 증가하는 추세다. 경총 관계자는 “최근 기업들 사이에서 인재상에 부합하는 신입사원을 선발하기 위해 면접을 강화하는 트렌드가 두드러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조사에 응한 기업의 64.2%는 스펙을 서류전형 시 최소한의 자격요건 또는 지원 적격 여부를 판단하는 목적으로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 대기업이 82.9%로 중소기업(54.5%)보다 많았다. 스펙이 채용 전반의 핵심요소라고 여기는 기업은 대기업이 12.2%, 중소기업이 8.2%에 그쳤다. 현재 스펙을 채용에 활용하는 기업의 대부분(93.0%)은 스펙 활용 비중을 유지하거나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스펙의 비중을 늘리겠다는 대기업은 2.6%에 불과했다.

한편 올해 대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취업 경쟁률은 평균 31.3대1로 2008년(30.3대1)보다 3.3% 증가했다. 중소기업의 취업 경쟁률은 6.0대1로, 8.4대1이었던 2008년보다 28.6%나 감소해 입사지원자들의 대기업 선호 경향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3-11-11 1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