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블랙박스 68%, 주요 기능 KS 기준 미달”

“차량용 블랙박스 68%, 주요 기능 KS 기준 미달”

입력 2013-11-11 12:00
업데이트 2013-11-11 1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소비자원, 31개 제품 비교 분석

시중에 판매 중인 차량용 블랙박스의 68%가 KS 기준에 미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차량용 블랙박스 31개에 대해 영상 품질·동영상 저장 성능·내환경성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 68%인 21개가 시야각이나 번호판 식별성 등 주요 기능이 KS 기준에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제품별로 하나엔지니어링코리아가 수입 판매하는 ‘MHD-K12’ 제품은 번호판 식별성·시야각·진동 내구성에서, 모두스코리아의 ‘350HD’는 번호판 식별성·시야각에서, 에이치디비정보통신의 ‘P3’는 시야각·초당 저장 화면 수·진동 내구성에서 KS 기준에 못 미쳤다.

특히 가격이 27만원대로 가장 비싼 큐알온텍의 ‘LK-7900HD ACE’는 진동 내구성 시험에서 거치대가 파손되기도 했다.

또한 한솔온라인의 ‘HVD-101’은 국가통합인증(KC) 마크가 없어 전파법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파법은 차량용 블랙박스를 전자파 적합 등록을 받아 KC 마크를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피타소프트의 ‘DR380-HD’, 코원시스템의 ‘AC1’와 ‘AW1’, 팅크웨어의 ‘FX500 마하’, 아이트로닉스의 ‘ITB-100HD SP’, 삼보컴퓨터의 ‘TGB-F1’ 등 6개 제품은 영상 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고 메모리 사용량이 적으며 내환경성에서 이상이 없었다.

소비자원은 이 같은 차량용 블랙박스 가격·품질 정보를 공정거래위원회의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 내 바교 공감 란에 공개할 계획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막연히 해상도가 높은 풀HD 제품을 선호하기 보다는 실제 영상 품질과 메모리 교체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