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이상 전연령대 칼슘 부족…성장기 더 심각”

“3세이상 전연령대 칼슘 부족…성장기 더 심각”

입력 2013-11-14 00:00
업데이트 2013-11-14 07: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국민 3명중 2명, 평균필요량에도 미달”

우리 국민 중 젖먹이를 제외한 전 연령대의 식생활에 칼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창 자라는 청소년기에는 칼슘 섭취량 부족 정도가 더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에 따르면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분석해보니 우리 국민의 식생활에서 칼슘 섭취량은 권장량에 견줘 평균 72% 수준에 그쳤다.

남성은 권장량 대비 78%를 섭취했고 여성은 이보다 더 낮아 67%에 머물렀다.

연령별로는 분유나 모유를 주로 섭취하는 0∼2세 영아를 제외하고는 모든 연령대에서 식품을 통한 칼슘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치지 못했다.

65세 이상 노인은 칼슘 권장량의 56%를 섭취, 모든 연령대 가운데 식생활로 얻는 칼슘 섭취량이 가장 낮았다. 또 칼슘 공급이 충분해야할 12∼18세 청소년도 권장량의 59%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칼슘 섭취량은 소득 수준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소득을 4단계로 구분했을 때 가장 높은 집단이 권장량의 78%를 섭취한 반면 최저 집단은 67%로 소득계층간 차이가 컸다.

우리 국민이 식생활로 얻는 칼슘의 양은 하루평균 517.9㎎이며, 주공급원은 채소류(26.7%)와 우유류(23.2%)로 구성됐다. 단일 식품으로는 우유(16.8%)가 단연 1위이고 멸치(6.3%), 김치(6.2%) 순이었다.

이번 분석은 식품으로 섭취하는 칼슘의 양만을 대상으로 했으며 영양제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확인된 식이보충제 복용률은 39.8%로, 나머지 60% 이상 국민은 식품에서만 칼슘을 섭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건당국은 2011년 기준으로 국민 3명 중 2명은 평균필요량(한 집단의 일일필요량을 충족시키는 값)보다 적은 칼슘을 먹고 있다고 추정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우리 국민은 남녀노소 및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칼슘 섭취량이 권장량 대비 80% 미만이고, 12∼18세 청소년과 65세 이상 노인의 칼슘 섭취 상태가 가장 불량하다”며 칼슘 섭취 개선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