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매출, 5년 만에 닭고기류 추월”

“한우 매출, 5년 만에 닭고기류 추월”

입력 2013-11-17 00:00
업데이트 2013-11-17 1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롯데마트, 올해 축산물 매출 분석결과

한우매출이 2008년 이후 처음으로 계육과 계란 등 닭고기류를 추월했다.

롯데마트가 올해 1월부터 11월 15일까지 축산물 매출 비중을 집계한 결과 한우 매출비율이 51.0%로 닭고기(계육·계란) 49.0%를 넘어섰다고 17일 밝혔다.

한우와 닭고기류 판매비중은 각각 2008년 48.1%대51.9%, 2010년 45.7%대54.3%, 2012년 47.3%대52.7% 등이었다.

이는 한우 가격이 하락하면서 돼지고기, 닭고기 못지않게 대중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 한우 가격은 과잉 공급으로 예년보다 10% 가량 저렴해졌다. 반면 닭고기는 사육 두수가 감소하며 시세가 10% 가량 상승했다.

실제 한국농수산식품공사에 따르면 한우 1등급 등심(100g)은 2008년 6천288원에서 올해 6천83원으로 하락한 반면 생닭(1kg)은 2008년 4천258원에서 금년 5천982원으로 올랐다.

이와 함께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는 한우 농가를 돕기 위해 한우협회와 대형마트들이 소비 촉진 행사에 적극 나선 것도 한우매출 증가의 주요 요인이다.

또한 일본 방사능 공포로 수산물 소비가 위축되면서 대체 수요로 축산물 소비가 증가한 것도 한 원인이다.

이권재 롯데마트 축산팀장은 “이달 매주 토요일을 ‘한우 먹는 날’로 지정, 지역 한우를 저렴하게 선보이는 행사를 진행한다”며 “다양한 품목으로 행사를 확대해 축산물 소비 촉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