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계란값

치솟는 계란값

입력 2013-11-21 00:00
업데이트 2013-11-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매가 1년 전보다 51% 올라… 여름 폭염에 산란계 폐사 원인

지난여름 폭염의 여파로 계란 값이 ‘금값’이 됐다.

20일 유통업계와 한국양계농협 등에 따르면 이달 현재 경기 지역의 계란 도매가격(특란 10개 기준)은 1600원으로 지난해 11월의 1058원보다 51%(542원) 올랐다.

지난 6월까지만 해도 전년보다 3.7%가량 쌌던 계란값은 7∼8월 불볕더위로 알을 낳는 닭인 산란계가 대거 폐사하고 산란율이 떨어지면서 급등하기 시작했다. 국내 산란계 수는 6100만∼6300만 마리 수준을 유지해 왔으나 이 중 3% 수준인 200만 마리가 지난여름 폭염으로 폐사했다. 산란율도 평년 대비 5% 정도 떨어졌다.

이 때문에 경기 지역 계란 도매가격은 7∼8월의 경우 지난해보다 62% 비싼 1437~1478원을 나타냈다. 9월 들어서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 비싼 1663원으로 뛰었다. 여기에 일본 방사능 공포로 수산물을 꺼리는 현상이 나타나 생선을 대체할 계란 등 음식 재료의 수요가 늘면서 계란 값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업계는 이런 상황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산란계 수가 평년 수준을 회복하려면 다소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3-11-21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